[부산/경남]동서남북/주먹구구식 쓰나미 대피 계획

  • 입력 2005년 6월 1일 07시 58분


코멘트
환경의 날(5일)을 앞두고 3일 ‘부산, 지진 안전지대인가’라는 주제로 부산일보 강당에서 열리는 시민토론회가 열린다.

부산이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닌 데다 최근 일본 쪽 지진의 여파로 피해가 잦기 때문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토론회에서는 지질학자들이 과학적 근거를 들어가며 위험성을 설명하게 된다.

포항∼경주∼울산을 잇는 울산단층의 이상조짐과 동북아시아의 판구조 환경변화 징후 등도 깊이 있게 다루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일본에서 발생한 강진 여파가 부산지역에 잇따라 감지되는 것과 관련한 기초자치단체의 대책에는 구멍이 많아 보인다.

특히 지진해일(쓰나미) 부문은 주먹구구식이라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부산지역 16개 구청과 군은 쓰나미 발생시 주민들의 이동 경로와 대피 장소 등을 지정하는 ‘30분 대피 계획’을 마련 중이다.

하지만 어디서, 얼마나 큰 지진이 발생했을 때 피해가 나타나고, 그 규모는 얼마나 될 것인지 등에 대한 과학적인 예측 시스템의 준비는 전무하다.

한 구청 관계자는 “대피장소 등은 서류상 계획일 뿐이고, 쓰나미가 발생하면 무조건 높은 곳으로 달아나라고 해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 공무원의 말이 아니더라도 효과적인 대피 계획은 처음부터 무리였던 듯싶다. 일단 쓰나미가 밀려오면 주민의 안전을 보장하기는 어렵다.

부산대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손문(孫文) 교수는 “부산에 쓰나미 피해가 생길 수 있는 경우는 대한해협에서 리히터 규모 8이상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라고 말했다. 그는 “그렇게 되면 부산에 쓰나미가 도착하는 시간은 20분 이내여서 ‘30분 대피 계획’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부산은 지진의 진앙 지인 일본과 가까워 지진파와 지진해일의 영향이 가장 큰 곳이다.

기왕 대책을 마련하려면 과학적인 예측 프로그램이 받쳐주는, 제대로 된 대피계획을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지난해 말 동남아를 휩쓸었던 쓰나미는 ‘처삼촌 묘 벌초하는 식’의 업무처리와 대책으로는 피해를 예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충분히 보여주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