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방화]‘地火鐵’ 소잃고 외양간도 안 고쳤다

  • 입력 2005년 1월 4일 18시 17분


코멘트
《4일 오후 돌아본 서울지하철 2호선 전동차 안은 2003년 2월 대구지하철 방화 참사 직후나 별로 달라진 게 없었다. 의자가 불에 잘 타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화재감지기도 없으며, 객차에서 지하철 종합사령실이나 역무실로 직접 연락할 수 있는 통신시설도 없었다. 다만 한쪽 벽에 긴급안내 전화번호 스티커가 붙어 있고 소화기와 비상버튼, 출입문 비상 코크 위치가 야광으로 표시돼 있는 것만 이전과 달랐다. 대구지하철 참사 이후 건설교통부는 전국의 각 지하철공사에 38개 항목의 개선명령을 내렸고 감사원도 개선제안 사항을 내려 보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선된 것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주요 사업들 대부분 ‘진행 중’=서울지하철에 대한 소방안전대책 사업 중 완료된 것은 지하철 1∼4호선 구간의 경우 112개 사업 중 51개, 5∼8호선 구간은 88개 사업 중 43개로 절반가량이다.

그러나 이들 사업은 대부분 대국민 안전교육 강화·홍보, 내부 전문가 양성교육, 근무기강 확립 및 직원의식 교육 등 돈이 들지 않거나 이미 설치된 시설의 성능을 확인·점검하는 것뿐이다.

비용을 들여 역사나 차량 내부에 설치하거나 비치해야 하는 사업 가운데 완료된 것은 지하철 1∼4호선의 국민 방독면 구입과 소방용 손전등 확보 정도가 고작이다.

의자 등 내장재를 불에 타지 않는 재질로 바꾸거나 전동차 안에서 승객이 기관사 또는 사령실과 통화할 수 있도록 객실통신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주요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거나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은 상태.

서울지하철 전동차 전체 3508량 중 내장재를 교체한 차량은 726대뿐이다.

특히 지하철 1∼4호선은 전동차 운전실에서 기관사가 승강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폐쇄회로(CC) TV를 설치하거나 지하철 3, 4호선 충무로역의 내장재를 교체하는 등의 21개 사업을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지방도 상황은 비슷하다. 부산지하철은 전동차 내장재 교체비율이 30%를 밑돌며 대구지하철은 안전개선사업 75건 중 39건만 마무리했다.

광주지하철은 지난해 4월 개통했지만 전체 전동차 52량 중 12량만 불연성 내장재를 사용하고 있다.

인천지하철은 지난해 말까지 4억3000만 원을 들여 승강장 확인용 CCTV와 비상 피난통로를 설치했으나 그 밖의 다른 사업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안전대책사업 더딘 이유는=이처럼 사업 속도가 더딘 것은 무엇보다 예산 부족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지하철 7호선 방화사건에서 보듯 중앙사령실∼개별 역사∼전동차 기관실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점은 그동안에도 문제로 지적됐던 것.

세 곳을 모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열차 무선통신시스템 개선’ 사업은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보류된 상태다.

서울지하철공사는 “소방안전대책 사업에 2007년까지 1조353억 원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러나 그때까지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돈은 정부지원금과 경영개선, 신사업으로 벌 수 있는 돈을 다 합해 7350억 원 정도”라고 밝혔다.

공사 관계자는 “7350억 원으로 소방안전대책사업 외에도 노후 전동차와 시설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돈이 크게 모자라는 형편”이라며 “정부가 요금은 올리지 못하게 하면서 재원을 확보해 주지 않고 시설 개선만 지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또 지하철을 정상 운행하면서 역사나 차량 개선사업을 동시에 진행하기 힘든 것도 안전대책 마련이 더딘 이유 중 하나다.

일부 사업들은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추진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일부러 사업 계획을 뒤로 잡은 것도 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장강명 기자 tesomiom@donga.com

광주=김 권 기자 goqud@donga.com

인천=황금천 기자 kchw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