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채기자] 서울 자치구 구청장들이 지역별로 잇따라 협의회를 만들고 있다.
동남지역 4개구(서초 강남 송파 강동)의 「동남권교통협의회」에 이어 18일 동북지역 8개구(노원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구청장들도 「동북지역환경행정협의회」를 발족키로 했다.
이 모임은 이달중 정식 창립총회를 갖고 △중랑천 및 지류하천 수질보전 △폐기물처리 △환경보전 등에 관해 보조를 맞추게 된다.
「서북권구청장협의회」(종로 중 용산 서대문 은평 마포) 「서남권구청장협의회」(구로 금천 양천 강서 영등포 동작 관악)도 비공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같은 모임이 잇따라 발족되는 것은 전체 모임으로는 해당 구청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시킬 수 없기 때문. 대표적인 사례는 민선시대 들어 논란이 됐던 담배소비세와 종합토지세 교환문제. 가난한 구청들은 담배소비세를 구세로, 종토세를 시세로 바꿀 것을 추진했지만 세수감수를 우려한 부자 구청이 반발했다. 이 문제는 결국 국무회의에서 보류됐다.
구청간 이해관계가 달라 구청장협의회에서 통일된 의견을 낼 수 없을 바에야 비슷한 처지끼리 모이자는 의견이 자연스럽게 나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