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수사]검찰,「4人떡값說」출처 한보측 의심

  • 입력 1997년 2월 11일 20시 17분


[하종대 기자] 한보특혜대출비리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은 검찰수사진조차 확인하지 못한 관련 정치인들의 실명이 마치 한보그룹 鄭泰守(정태수)총회장이 검찰에서 수뢰자로 지목한 것처럼 잇따라 보도되자 보도내용의 진원지와 유출배경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특히 수뢰정치인으로 거명된 신한국당 金德龍(김덕룡)의원이 『누군가 의도적으로 정치인의 이름을 흘리고 있는 것 같다』며 「정치적 음모설」을 제기하면서 보도경위 자체가 의혹으로 떠오르고 있다. 검찰관계자들은 『한보사건의 본질을 벗어난 얘기들이 사실여부에 대한 검증도 거치지 않은 채 어떻게 흘러나가는지 모르겠다』며 보도경위와 배경을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일단 한보그룹측을 의심하고 있는 눈치다. 검찰이 지난 10일 한보그룹 鄭譜根(정보근)회장을 소환조사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는 것이 정설. 수사진이 한보그룹측에 유출여부를 물어본 뒤 「입조심」을 강력히 경고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 정회장 이외에 한보철강 李龍男(이용남)부사장과 그룹홍보를 총괄하는 언론인 출신 李春發(이춘발)부사장 겸 홍보실장을 상대로 경위를 조사했다. 검찰이 이처럼 한보측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는 것은 거명된 일부 정치인들이 민주계 실세들로 권력핵심측에서 유출되기 어려운데다 극히 제한된 수사진만 알 수 있는 내용이 검찰내부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보측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과 검찰주변에서는 정치적 음모설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정치적 음모설은 △부산 경남(PK)출신 세력들끼리의 내분 암투설 △청와대 모인사가 고의적으로 흘렸다는 설 △신한국당 모대선주자측이 흘렸다는 설 등 다양하다. 또 정총회장이 검찰수사에 앞서 부도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백방으로 줄을 댔을 때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정치인들을 찍었다는 설도 나오고 있다. 하여튼 진원지가 정치권이든 청와대든 아니면 검찰이나 한보측이든 정치적 배경이 깔려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정치권과 검찰주변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