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차 위성발사 준비”… 한미일 국방, 정보 실시간 공유 논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대북매체 “北 기존 발사대 주변 분주”
11일 이전에 재발사 강행 가능성
한미일 국방, 오늘 샹그릴라 회담
한중-한일 연쇄 양자회담 예정

아시아안보회의 참석하는 한미중 국방장관 2일 싱가포르에서 개막한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한미중 3국 국방 수장들이 참석하고 있다. 왼쪽 사진부터 이종섭 국방부 장관,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 뉴스1·싱가포르=AP 뉴시스
아시아안보회의 참석하는 한미중 국방장관 2일 싱가포르에서 개막한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한미중 3국 국방 수장들이 참석하고 있다. 왼쪽 사진부터 이종섭 국방부 장관,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 뉴스1·싱가포르=AP 뉴시스
지난달 31일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에 실패한 북한이 재발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이는 움직임이 포착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미 당국은 위성 등으로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 관련 동향을 밀착 감시 중이다.

북한 발사체 잔해 수거 작업을 진행 중인 군은 2일 오후 잠수함구조함인 청해진함(3200t)을 발사체 잔해(2단 추진체)가 가라앉은 해역에 추가로 파견했다. 3일 오전부터는 해난구조전대(SSU) 심해잠수사를 수심 75m의 잔해 발견 해저에 투입해 잔해에 고장력 밧줄을 결박하는 등 본격적인 인양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 “기존 발사장 주변 차량·인력 분주”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1일(현지 시간) 상업위성 분석 결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를 앞둔 며칠간 기존 발사대 주변에서도 분주한 움직임이 감지됐다”며 “많은 차량이 발사대 주변에서 관측됐고, 크레인들도 배치돼 있었으며, 레일이 장착된 구조물이 발사 타워와 나란히 배치됐다”고 전했다. 북한이 위성발사장의 새 발사대에서 정찰위성(만리경 1호)을 탑재한 우주발사체(천리마 1호)의 발사를 전후해 기존 발사대에서도 활발한 동향이 포착됐다는 것. 기존 발사대와 새 발사대는 3km가량 떨어져 있다.

NK뉴스는 “이 모든 것은 과거 임박한 발사의 징후였다”며 “기존 발사대 주변의 이 같은 움직임은 또 다른 발사가 임박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의 선박 항행경고는 11일 새벽까지 유효하지만 이 경고가 유효하려면 동일한 유형의 발사가 시도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3개의 파편 낙하 구역이 달라진다”고도 했다. 북한이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통보한 발사 예고 기간(5월 31일 0시∼6월 11일 0시)에 정찰위성의 재발사를 강행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또 북한이 2단 엔진(추진체) 문제로 발사가 실패했고, 추가 시험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한 만큼 “(추가 시험에) 서해 발사장을 이용한 엔진 실험이 포함될 수 있다”고 NK뉴스는 관측했다.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새 발사대에서 재발사를 하기 전에 기존 발사대에서 2단 추진체 등 연소 시험부터 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 北 위성 발사 사흘 만에 머리 맞댄 한미일 국방수장

이런 가운데 3일(현지 시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선 한미일 3국의 국방장관 회담이 열린다. 북한의 위성 발사 사흘 만에 한미일 국방 수장이 머리를 맞대는 것.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은 북한의 위성 발사 대응과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warning data) 실시간 공유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3국 장관은 북한이 발사에 실패한 ‘우주발사체’를 사실상 장거리탄도미사일로 규정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임을 강력히 규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의 위성 재발사를 포함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굳건한 공조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 구축 방안이 이번에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3국 정상이 안보 협력 강화를 공언한 만큼 이번 장관 회담에선 관련 작업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붙인다는 것.

이 장관은 같은 날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과 한중 국방장관 회담도 갖는다. 이 장관은 리 부장에게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중단을 위해 중국 측의 건설적 역할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은 역내 긴장 고조 책임을 미국에 전가하면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기반한 한미, 한미일 대북·대중 공조에 집중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도 있다.

4일엔 한일 국방장관 회담이 열린다. 한일 국방 수장의 양자 회담은 2019년 11월 이후 3년 6개월여 만이다. 이 자리에서는 그간 한일 국방 교류의 걸림돌이었던 ‘초계기 갈등’에 대한 양국 장관의 언급이 나올지 주목된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싱가포르=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북한#2차 위성발사#국방#정보 실시간 공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