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서영교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향해 “총리로서 물가폭탄에 대해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한 총리는 이에 “이 원인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짓누르는 인기 위주의 정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2021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에너지 원가는 거의 5배가 올랐다. 그런데 (당시 정부는) 한 푼도 올리지 않았다. 시장에 대항하는 것이 당장 국민에게 도움될지 몰라도 반드시 폭탄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이 “정부는 왜 있느냐”고 묻자, 한 총리는 “포퓰리스트 정권은 안 된다”고 맞받기도 했다.
민주당 이개호 의원은 급등 원인을 두고 전정부 탓으로 돌리는 태도는 옳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한 총리는 “어느 정부를 떠나 어떠한 정부도 올라야할 요인이 누적돼있는데 제때 조정하면 항상 폭탄의 문제는 발생하게 돼 있다”며 “경제정책 운영의 원칙으로 요인이 발생하면 최대한 경제가 수용하는 한 시장 움직임에 따라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이 의원은 이에 “전기요금도 전체적으로 올랐다. 탈원전 때문이라는 데 문 정부 때 원자력 발전량이 줄어야 이유가 되지 않겠나? 탈원전 때문에 전기요금 폭탄이 발생했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고 지적”이라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도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 1년도 안 된 상황에서 (난방비 급등이)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부의 책임이 없다 할 수 없다”며 “지금 와서 (민주당이) ‘난방비 폭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현 정부에 책임을 돌리는 것은 후안무치”라고 일갈했다. 한 총리는 난방비 폭탄의 근본적 이유를 묻는 최 의원의 질의에 “(인상) 요인이 발생했을 때 적절하게 가격을 조절하면 소비자들이 어느 정도 대비할 수 있었을 텐데 지난 몇 년간 그 노력은 충분하지 못했다”며 전 정부의 책임론을 강조했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