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이 장관이 자진 사퇴하는 게 최우선이라고 생각하고 그렇지 않다면 대통령이 정리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탄핵은 법적 절차가 아닌가. 그 요건이 있어야 한다”며 “과연 헌법재판소에 가서 그때까지 직무를 정지시킬 수는 있겠지만 민주당이 원하는 대로 결론이 난다는 보장도 없는 것 아니겠나. 그렇게 되면 오히려 면죄부를 주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장관 탄핵 문제는 이미 해임결의안이 있었는데도 부결되지 않았나”라며 “법적 책임 이전에 국민에 대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누군가 져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언급했다.
또 이 장관 탄핵과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 추진이 내년 총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견해에는 “총선은 아직 1년 이상 남았는데 모든 문제를 총선에 결부시켜서 이야기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오는 4일 예정된 국민보고대회 참석 여부를 묻는 진행자의 질의에는 “가야겠지요”라고 짧게 답했다.
이어 진행자가 “썩 내키지 않는다는 의미로 들린다”고 재차 묻자 “장외투쟁보다는 보고대회라고 생각한다. 그런 차원에서 그간의 민생투어 결과를 보고하고 정부에 민생 대책을 촉구하는 또 그걸 비판하는 그런 자리로 보고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보고대회로 ‘방탄’ 이미지가 강해질 수 있다는 우려에는 “장외투쟁을 한다고 해서 방탄이 되겠나. 검찰이 명운을 걸고 가지고 있는 모든 수사력을 총동원해서 수사를 하고 있는 방탄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전혀 방탄이 될 가능성이 없다”고 했다.
이재명 대표에 대한 당 장악력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나아가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당을 걱정하는 의원들이 자기 의견을 말하는 건 괜찮다”며 “그러나 대다수 의원은 이 대표 중심으로 민주당이 단일대오 유지하고 정부 여당의 폭주에 대해서 적절한 대응을 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