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의 과제는 현재와 같은 일회성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뛰어넘는 근본적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산가족에 대한 전면적 생사 확인과 명단 교환, 이에 따른 서신 교환과 상봉 정례화 및 상시화, 고향 방문으로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인도적 문제’라는 명분 외에 구체적이고 실질적 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 “북한에 생사 확인 위한 비용 지원 필요”
특히 적십자 본회담에서는 이산가족 생사 확인, 서신 교환, 상시 상봉과 그에 따른 비용 지원,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을 하는 데 비용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 이산가족을 위한 것인 만큼 이를 지원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소극적인 북한을 끌어낼 당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당국회담에서 이산가족-금강산 포괄 협의”
적십자 본회담만으로는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푸는 데 한계가 있다. 한국이 원하는 게 있는 만큼 북한도 원하는 게 있다고 나올 것이고, 이런 이산가족 범주를 넘어서는 문제는 당국회담에서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김성재 통준위 사회문화분과위원장은 “이산가족 문제를 포함해 우리가 원하는 현안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북한이 원하는 문제를 포괄적으로 협의해 큰 틀의 합의를 이뤄내는 과정에서 이산가족 문제가 자연스럽게 풀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산가족 문제를 큰 틀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마중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문제는 북한의 핵 문제. 북핵 문제에서 진전을 보이지 않는 이상 대북 제재를 무릅쓰고 큰돈이 들어가는 금강산 관광이나 남북 경협을 정상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남북대화와 북핵 협상의 투트랙이 빨리 재개돼야 대북정책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송평인 칼럼]박범계를 지켜보는 게 고통스러운 이유
[김순덕의 도발]김어준의 뉴스공장, 세금으로 들어야 하나
최순실 “국가·국민 기망한 안민석 국회의원직 박탈하라”
떠나는 이성윤 측근 “檢개혁, 특정집단 아닌 국민 위해야”
대통령의 체중계는 괜찮은 걸까[오늘과 내일/박중현]
홍준표 “사찰 겁낼 정도면 공직자해선 안 돼…투명하면 문제없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