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55돌 특집]통일한국의 미래

  • 입력 2000년 8월 13일 19시 08분


남북분단 반세기만에 한반도에 화해의 기운이 넘치고 있다. 일제강점에서 독립을 되찾은지 55년. 그러나 진정한 광복은 남북통일로 완성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남북정상이 분단이후 최초로 정상회담을 개최한 이후 통일이 멀지 않았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통일은 민족적 국경적 개념의 단순한 통일을 넘어서 세계화를 지향하는 ‘열린 국가’로의 통일이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통일이 되면 한반도가 가진 지정학정 위치를 활용해 주변강국들을 조정 중재하는 전략적 위상을 갖춰야 한다는 것.

분단이후 남북의 경제성장을 살펴보면 통일한국의 미래에 긍정적인 대목이 많다.

통일부는 남과 북의 국민총생산(GNP)을 포괄한 개념을 ‘한민족 GNP’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민족 GNP’는 6·25전쟁 직후인 53년 18억달러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4179억달러로 비약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남북분단에 의한 배타적인 구조에서 이런 성장을 이뤘다는 점을 감안하면, 통일이후 남북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효율성이 발휘된다면 한민족의 경제성장은 동북아시아를 주도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통일연구원 김수암(金壽岩)연구위원은 “분단의 해소라는 의미에서의 통일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통일한국의 위상을 어떻게 적극적으로 준비하느냐에 한민족의 미래가 걸려있다”고 말한다. 그는 “전통적인 국제정치학에서 국력은 군사력과 경제력의 잣대로 평가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며 “그러나 이제는 정보―과학기술이 국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남북이 문화, 정보, 컴퓨터 등 과학기술에서 앞서나갈 수 있도록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종렬(裵鍾烈)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이제 서방세계로 나서는 상황에서 남북은 전통적인 산업에서의 협력뿐 아니라 새로운 벤처와 첨단컴퓨터산업에서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남북의 경제협력이 진행될 경우 과학중시 기풍을 벌여온 북한과 첨단분야에서 서로 협의할 부분이 의외로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영식기자>spea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