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수사/野가 보는 與속셈]『폭로는 본질 흐리기』

  • 입력 1997년 1월 30일 20시 09분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야권은 신한국당이 야당인사 한보연루설을 발표하고 나선 것은 여권에 쏠리고 있는 의혹의 시선을 돌려보려는 의도에서라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신한국당이 제기한 의혹에 대해 가급적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이 상책이라는 판단이다. 양당의 공식반응도 이런 기조위에서 이뤄졌다. 국민회의 鄭東泳(정동영)대변인은 논평에서 『일고의 가치도 없는 음모』 『5조원의 「한보게이트」를 야당이 만들 수 있다고 믿는 국민은 소수민주계 말고는 단 한 사람도 없다』고 일축했다. 자민련 安澤秀(안택수)대변인도 『물귀신작전을 쓰는 것을 보니 급하기는 급한 모양』 『이런 한심한 사람들이 집권하고 있으니 세상이 이렇게 될 수밖에 없다』고 비아냥댔다. 야권은 특히 신한국당의 문제제기가 사태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한보사태의 핵심은 한보에 대한 금융특혜에 누가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인데 신한국당의 공세는 금품수수설 등 일방적 루머유포로 일관돼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야권은 신한국당의 대응이 여야간 폭로전을 유발, 초점을 흐리려는 저의에서 비롯됐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 야권은 반면 자신들이 제기한 金賢哲(김현철)씨나 「여권4인방」의 의혹은 특혜와 직접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상당한 개연성이 있다는 반박논리로 그 정당성을 강조한다. 특히 金泳三(김영삼)대통령에 대한 책임문제를 거론한 것은 법적인 책임이 아니라 행정수반으로서의 행정적 정치적 책임을 물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면서 여야를 포괄하는 모든 설(說)과 의혹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청문회개최와 특별검사제 도입을 다시 요구하고 나섰다. 그렇지만 야권은 무차별적인 폭로전으로의 비화는 원치 않고 있다. 이미 일반의 여론이 천문학적규모의 대출특혜와 관련해 현정권에 강한 혐의를 두고 있다는 상황판단에 따라 초점을 흐리는 우(愚)는 범하지 않겠다는 생각에서다. 다만 야권은 검찰수사가 겉돌거나 여권의 근거없는 폭로공세가 계속되면 여권실세들과 관련된 정보수집내용을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崔永默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