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처럼… 머스크, 모디와 성조기앞 회동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2월 15일 01시 40분


백악관 인근 영빈관서 만나
자녀 3명-아이들 엄마 배석
트럼프 “인도 사업 원해 만났을것”

13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인근의 영빈관 블레어하우스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오른쪽)가 머스크의 아들 ‘X(본명 엑스 애시 에이트웰브·X Æ A-Xii)를 바라보며 웃고 있다. 사진 출처 모디 총리 X
13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인근의 영빈관 블레어하우스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오른쪽)가 머스크의 아들 ‘X(본명 엑스 애시 에이트웰브·X Æ A-Xii)를 바라보며 웃고 있다. 사진 출처 모디 총리 X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실세로 불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겸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13일(현지 시간) 워싱턴 백악관 인근의 영빈관 블레어하우스에서 방미 중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났다.

이날 뉴욕타임스(NYT)는 머스크와 모디 총리가 앉은 자리 뒤에 성조기와 티랑가(인도 국기)가 나란히 세워져 있어 두 사람의 회동이 마치 ‘정상회담’ 같았다고 평했다. 대통령의 ‘퍼스트 버디’로 꼽히는 머스크가 특별공무원(SGE) 신분으로 고용돼 다른 부처 수장과 달리 미 상원 인준도 거치지 않은 채 강력한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추진하며 논란이 이는 가운데 이날 회동도 그의 막강한 권력을 보여줬다는 지적이 나온다.

모디 총리는 13일 X를 통해 “워싱턴에서 머스크와 매우 좋은 면담을 가졌다”며 “그가 관심을 갖는 우주, 기술, 혁신 등과 다양한 주제를 논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개혁에 대한 인도 정부의 노력에 관한 이야기도 했다”고 했다. 머스크는 14일 X에 “(모디 총리를) 만나서 영광이었다”고 썼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양측의 만남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양측이 만난 것은 알지만, 기업 CEO로서 만났는지 정부효율부 수장으로서 만났는지는 모르겠다”며 “아마 머스크가 인도에서 사업을 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모디와 만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머스크 외에도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도계 사업가 비벡 라마스와미도 만났다.

머스크가 외교 무대에 어린이 자녀를 대동한 점도 또 한번 주목을 받았다. 11일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5세 아들 ‘X(본명 엑스 애시 에이트웰브·X Æ A-Xii)’를 데리고 나왔던 머스크는 모디 총리와의 만남에선 자녀 3명을 동석시켰다. 이날 회동에는 X와 네 살배기 쌍둥이 스트라이더, 아주어가 면담 자리에 나와 모디 총리 측 보좌진과 마주 앉았다. 쌍둥이의 어머니이자 머스크가 설립한 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임원인 시본 질리스도 참석했다. 머스크가 공개 석상에 자주 데리고 다니는 X는 과거에도 해외 정상을 만난 적이 있다. X는 2023년 머스크가 뉴욕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만났을 때도 동석했다.

#일론 머스크#나렌드라 모디#정상회담#자녀 동석#트럼프#외교 동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