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씨는 첫아들로 의소 세손을 낳게 되지만 두 번째 임신에서는 유산을 하게 된다. 유산 후에 다시 임신한 아들이 바로 정조 이산.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대부분은 체력이 떨어지면서 유산이나 불임으로 갈 확률이 더 커지지만 홍씨는 이런 난관을 모두 극복하고 정조를 낳았다. 홍씨는 과연 어떻게 유산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던 것일까.
‘동의보감’은 유산을 밤에 비유해 설명했다. “정상적인 출산은 밤송이가 저절로 벌어져서 송이나 밤톨이 아무런 손상 없이 분리되는 것과 같다. 유산은 채 익지 않은 밤송이를 따서 껍질을 억지로 비벼 밤톨을 발라내는 것과 같다.”
혜경궁 홍씨는 유산 후에 ‘궁귀탕’이라는 처방의 약을 먹고 정조를 출산했다. 정조 출산 이후 홍씨는 영조의 양위소동과 사도세자의 정신병 발작 등 비극적인 궁중 상황으로 인해 또다시 유산을 하게 된다. 그때도 홍씨는 궁귀탕을 먹고 기력을 차렸다. 궁귀탕에 들어가는 당귀와 천궁의 용량 비율을 원래 5 대 5에서 6 대 4로 변경하면 부처님 손처럼 아기를 순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이름의 ‘불수산(佛手散)’ 처방이 된다.
당귀 천궁 중, 당귀는 당귀부(當歸夫)의 준말로, 남편을 떠났던 불임 여성이 당귀를 먹고 자궁을 튼튼하게 한 뒤 다시 집으로 돌아가 임신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귀(歸)’는 특히 돌아간다는 의미로, 당귀는 실제 악혈(惡血)이 심장에 쏠려 기절하거나 답답한 증상을 안정시켜 제자리로 돌려주는 기능을 한다.
임신 유지와 출산을 위한 수태(瘦胎) 처방 중에는 ‘달생산(達生散)’이라는 게 있다. 태아가 너무 커 출산에 부담이 될 때 쓰는 처방이다. 출산 1개월 전후로 초산이 난산의 우려가 클 때 사용한다. 혜경궁은 첫 번째 의소 세손 출산 시 먹었고 현종 왕비인 명성왕후나 순조의 부인인 순원왕후, 숙종의 부인인 인경왕후 등도 복용했다. 기 순환을 촉진하고 부드러운 이뇨 작용을 하는 대복피라는 약재가 들어 있어 태아의 다이어트에 도움을 준다. 필자도 첫아이 출산 때 이 처방을 썼는데 바짝 마른 아이가 태어나 그 효능을 실감했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