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황인찬]아프간 여성의 눈물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8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아무도 우리를 신경 쓰지 않아요. 우리는 역사 속에서 천천히 죽어가겠죠.” 양 갈래로 머리를 땋은 앳된 아프간 소녀가 연신 눈물을 흘렸다. 얼굴에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이 가득했다. 한 인권운동가는 13일 트위터에 신원을 밝히지 않은 소녀의 영상을 올려 아프간의 절박한 상황을 알렸다.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한 지 하루 만인 16일, 광고판에서는 여성 모델들이 가려지고 있고 거리에는 외출한 여성이 없어 흉흉하다.

▷탈레반은 1996년 집권 후 극단적인 이슬람 율법으로 여성 인권을 억눌렀다. 초등학교조차 못 다니게 했고, 취업도 금지했다. 외출할 때는 전신을 가리는 부르카를 입혔고, 탈레반 대원과 강제결혼도 시켰다. 이를 어기면 몽둥이질이고 심하면 생명을 앗아갔다. 카불의 유일한 종합운동장인 가지 스타디움에는 매일 기도시간인 오후 3시 반 교수대와 투석대가 설치됐다. 율법을 어긴 사람들의 비명소리가 오후만 되면 끊이질 않는 참혹한 시기였다.

▷20년 전 탈레반이 물러간 이후 아프간의 여성 인권은 빠르게 개선됐다. 지금은 여성이 대학생 가운데 3분의 1, 성인 취업인구 중 5분의 1로 늘었다. 여전히 서방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지만 그래도 여성들에게는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었다. 하지만 미군 철수가 시작된 5월 이후 25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 80%는 여성과 아이들이라는 게 유엔의 집계다. 이들은 탈레반에 쫓겨 주로 카불로 향했는데 이제는 어디로 가야 하나.

▷미국 국무부는 16일 탈레반이 여성의 기본권을 존중하고, 테러리스트를 숨기지 않아야만 정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탈레반이 아프간을 점령하면서 혼란과 무질서가 커지는 것에 대한 국내외의 비판을 의식한 발언일 것이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도 6월 아프간 여성과 소녀들에 대한 미국의 지원이 계속될 것을 약속했었다. 하지만 탈레반을 변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도 아프간 여성들이 나약하지만은 않다. 탈레반이 주요 도시를 점령해 나가자 지난달 여성들은 직접 총을 들고 항전에 나서기도 했다. 과거의 인권 암흑기로 돌아가지는 않겠다는 각오였다. 대통령이 나라를 버리고 줄행랑을 쳤지만 아프간 최초의 여성 교육부 장관인 랑기나 하미디(45)는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하던 날 평상시처럼 출근해 자리를 지켰다. 열한 살짜리 딸이 있다는 그는 “나도 공포를 느낀다. 하지만 만약 살아남는다면 수백만 소녀들을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나라에선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을 지키기 위해 이제 아프간 여성들은 목숨을 건다. 그들의 용기에 신의 가호가 있기를.

황인찬 논설위원 hic@donga.com
#아프간#탈레반#여성의 눈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