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반도체의 72%는 한국 대만 등 아시아에서 생산된다. 인텔 퀄컴 등이 미국 기업이지만 미국 안에서 생산되는 반도체는 13%에 불과하다. 바이든 미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 500억 달러(약 56조4000억 원) 지원을 약속하고, 인텔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투자를 시작했어도 생산까진 4, 5년이 걸린다. 그사이 한국, 대만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이 절실한 것이다.
미국의 움직임이 중국엔 자신을 겨눈 비수와 같다. 중국은 반도체에 매년 수십조 원을 쏟아붓지만 자급률은 16%이고 기술력도 한계가 있다. 미국 중심으로 반도체 공급망이 재편되면 지난달 양회에서 공표한 ‘8대 정보기술(IT) 신산업 육성’ 목표도 공염불이 될 수 있다.
국가 간 총력전으로 번진 반도체 전쟁에서 한국은 조금도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다. 선두인 메모리반도체에선 기술 격차가 좁혀지고 있고, 시스템반도체는 갈 길이 멀다. 강대국 요구에 부응해야 하지만 주문대로 생산시설을 해외로 옮기다간 국내 제조업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
이럴 때일수록 기업은 연구개발 투자를 늘려 경쟁력 ‘초격차’를 유지해야 한다. 정부는 기업과 적극적 소통을 통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 대등한 조건으로 나설 수 있도록 투자세액 공제 확대, 파격적 규제 완화, 통상외교 강화 같은 실질적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재용 사면해야”… 반도체 위기에 곳곳서 목소리
[이기홍 칼럼]필패 자초하는 與, 천운 걷어차는 野
檢 “‘김학의 출금’ 이성윤 지검장 기소할 것…文대통령 檢총장 후보자 지명 이후”
[오늘과 내일/이성호]백신 위기를 불러온 세 가지 패착
김근식 “김어준과 유재석의 차이점…친문MC·국민MC”
“밥까지 정부 간섭” MZ세대 반발만 불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