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대성이론, 은하에서도 통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6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중력, 시공간에 영향” 증명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 ‘기억의 지속’. 시간이 절대성을 잃고 변형됐다. 일반상대성이론이 바라본 시공간도 변형이 가능하다. 동아일보DB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 ‘기억의 지속’. 시간이 절대성을 잃고 변형됐다. 일반상대성이론이 바라본 시공간도 변형이 가능하다. 동아일보DB
아인슈타인의 대표적 성과 중 하나는 중력 이론인 일반상대성이론이다. 중력으로 시공간이 변형되며,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는 게 핵심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은 태양계를 중심으로 한 여러 관측을 통해 가까운 우주에서는 증명돼 있었다. 다만 은하 밖 먼 우주까지 통용되는 우주 법칙인지 여부가 최근까지 논란이었는데, 적어도 은하 규모의 넓은 우주에서는 일반상대성이론이 잘 들어맞는다는 사실이 최근 증명됐다.

토머스 콜릿 영국 포츠머스대 우주론·중력론연구소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및 유럽남부천문대(ESO)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해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5억 년 가야 하는 거리의 은하를 관측했다. 그 결과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빛의 휘어짐’에 의한 중력렌즈 효과가 계산과 정확히 일치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2일자에 발표됐다.

중력렌즈는 거대한 중력을 발생시키는 물체, 즉 질량이 큰 물체 주변의 시공간이 엿가락처럼 휘고, 그곳을 ‘직진’하는 빛도 마치 렌즈를 통과한 것처럼 휘어져 들어오는 현상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을 이용하면 휘는 정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그동안 먼 은하에서도 중력렌즈가 100개 넘게 발견돼 있었는데, 모두 너무 멀어서 휜 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알려진 중력렌즈 중 가장 가까운 ESO325-G004라는 은하를 고른 뒤 내부 별의 속도를 측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은하의 질량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허블우주망원경 관측 영상으로 계산한 질량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값이 97%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콜릿 교수는 “태양계 밖 천체를 통해 일반상대성이론을 확인한 가장 정확한 실험일 것”이라고 말했다.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ashilla@donga.com
#일반상대성이론#은하#아인슈타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