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엇보다 부동산시장의 활성화 수준을 보여주는 부동산 거래회전율이 역대 최저 수준 기록을 잇달아 갱신하고 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아파트 등 집합건물의 거래회전율은 지난해 말 반등을 시도했다가 다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특히 전국 부동산시장의 척도로 여겨지는 서울에서는 집합건물 1만 채 가운데 불과 14채만이 거래되는 등 사실상 거래가 단절된 모습이다.
● 역대 최저 기록 또다시 갈아 치운 거래회전율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부동산의 거래회전율은 0.15%였다. 아파트 등 집합건물과 토지, 건물을 합친 거래 가능한 모든 부동산 1만 건 가운데 15건이 거래됐다는 뜻이다. 2010년부터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제일 낮은 것이다.
이전까지 최저 기록은 지난해 10월과 11월(0.18%)이었다. 이후 12월(0.19%)에 소폭 반등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다시 떨어지면서 최저 기록을 갈아 치웠다. 이는 2010년 이후 역대 월 평균 거래회전율(0.3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거래회전율은 2010년(0.29%)와 2012년(0.27%), 2013년(0.29%)를 제외하곤 꾸준하게 0.30%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전반적으로 크게 하락하면서 연 평균 거래회전율이 0.24%로 떨어지며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 아파트 거래회전율도 역대 최저
토지나 상가 등 일반 건물에 비해 거래가 활발한 아파트 등 집합건물의 거래회전율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달 0.25%로, 역대 최저였던 지난해 10월(02.8%) 기록을 갱신한 것이다.
2010년 이후 지난해까지 집합건물의 역대 거래회전율 연평균은 0.70%로 다른 부동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런데 2021년 6월부터 0.64%로 평균을 밑돌기 시작했고, 그해 12월 0.59%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접어들어서도 1월(0.50%)부터 꾸준하게 떨어지다 9월(0.34%)에 0.3%대, 10월(0.28%)에 0.2%대로 더 추락했다.
이후 11월(0.30%)과 12월(0.32%)에 반등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해가 바뀐 지난달에 또다시 0.20%대로 주저앉고 말았다.
전문가들은 “당분간은 현재와 같은 거래 침체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가파른 금리인상과 부동산가격 하락에 대한 두려움으로 거래가 얼어붙은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 지난달, 전남 신안·경북 군위 거래 ‘0’…서울 노원도 1만 채 가운데 5채 거래
17개 시도별 전체 부동산의 거래회전율을 보면 대전(0.28%)과 인천(0.25%) 세종(0.24%) 부산(0.21%) 경기(0.21%) 광주(0.19%) 등 6곳을 제외하곤 모두 평균(0.15%) 이하에 머물렀다.
반면 집합건물은 서울(0.14%) 울산(01.7%) 대구(0.23%) 충북(0.23%) 경북(0.23%) 전북(0.24%) 경남(0.25%) 등 7곳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모두 평균(0.25%)을 웃돌았다. 비중이 큰 서울의 부진이 전체 평균을 깎아내린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시내 25개 구의 집합건물 거래회전율을 보면 은평구(0.40%)와 종로구(0.34%) 강북구(0.34%) 광진구(0.25%) 금천구(0.23%) 영등포구(0.22%) 서대문구(0.19%) 마포구(0.15%) 용산구(0.15%)를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평균(0.14%) 이하였다.
특히 노원구(0.05%)와 송파구(0.07%) 동작구(0.07%) 양천구(0.08%) 도봉구(0.08%) 동대문구(0.09%) 등은 소수점 두 자릿수에 머물렀다. 이는 1만 채 가운데 거래된 집합건물이 한 자릿수이며, 그만큼 극심한 침체에 빠졌음을 보여준다.
한편 지난달 조사대상 지역 가운데에서 전남 신안군과 경북 군위군, 두 곳은 거래회전율이 ‘0%’였다. 거래가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