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대학원 한국학 전공학생 초청 “한국식 한문 직접 접해 큰 도움”

“산의 한쪽 면은 완만하고 다른 쪽은 가파르죠? 가파른 쪽에서 산을 바라본 사람은 산에 대해 어떻다고 말할까요?”
한쪽 면만 보고 말하는 ‘피사(詖辭·공정하지 않고 치우친 말)’는 다른 면을 간과한다는 설명에 학생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외국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고전 강의는 2019년 시작됐다. 독일 보훔대 마리온 에거트 교수 등 해외 한국학자들이 “차세대 한국학자를 위해 한문 교육을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고 연구원이 이를 받아들였다.
체코 국립카를대 한국학과 박사 과정생인 코치노바 카테리나 씨는 “조선 재난사를 주제로 논문을 쓰고 있는데 한문 문장을 익히니 조선왕조실록도 직접 해석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연구원은 “해외 대학에서 한국식 한문을 가르치는 곳이 없어 펠로십을 통해 한문 교육을 처음 접했다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열녀비를 주제로 박사 논문을 준비하는 홍콩 출신 찬윙샨 씨(영국 런던 소아스대 한국학과)는 주말마다 경북 안동 등으로 가 조선 ‘열녀비’를 연구한다.
“비문을 읽고 논문에 필요한 자료 조사를 할 수 있어 신납니다. 내실 있는 한국학 연구로 꼭 보답할게요.”
성남=최훈진 기자 choigiz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