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스터시는 그리스어 ek, exo(∼의 밖으로)와 histanai(놓다, 서다)의 복합어인 엑스타시스(ekstasis)에서 나온 것으로 ‘밖에 서다’란 뜻을 지닌다. 이것은 영혼이 육체를 떠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일상적인 의식수준이 저하되면서 빠져드는 망아(忘我)상태 또는 황홀상태에 빠져듦을 말한다. 말 그대로 이성의 통제를 벗어나 압도적 정서에 자신을 내맡겨버리는 상태, ‘자신의 바깥에 서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근대 이후 축제에선 종교적 의미가 퇴색했다. 하지만 신과의 합일이 이뤄질 때의 무아지경을 희구하는 심리는 여전하다. 오늘날 축제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황홀경을 어떻게 재생산하느냐에 달렸다는 게 연세대 축제문화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저자의 통찰이다. 그렇다면 탈종교화된 축제에서 어떻게 황홀경을 끌어낼 수 있을까. 저자는 “도구를 만드는 인간(호모 파베르)은 곧 놀이하는 인간(호모 루덴스), 사유하는 인간(호모 사피엔스), 종교적 인간(호모 렐리기오수스)”라는 루마니아 출신의 종교학자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말에서 힌트를 얻은 듯하다. 저자는 오늘날 축제에선 놀이가 종교의 역할을 대신 수행한다고 주장하면서 네덜란드의 역사가 요한 하위징아(‘호모 루덴스’의 저자)와 프랑스 사회학자 로제 카유아(‘놀이와 인간’의 저자)의 이론을 축제에 적용한다.
카유아는 놀이를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 등 네 가지로 분류했다. 아곤은 스포츠처럼 ‘힘과 기교를 겨루는 놀이’다. 알레아는 주사위 놀이처럼 ‘운을 실험하는 놀이’다. 미미크리는 가장무도회처럼 환상을 모방하는 ‘모방행위 놀이’다. 일링크스는 팽이 놀이나 회전목마 같은 ‘현기증 놀이’다.
성공적인 축제가 되기 위해선 이런 놀이성이 적절히 가미돼야 한다. 이에 따르면 소와 함께 거리를 질주하는 산페르민 소몰이 축제는 아곤형 축제이고 가장행렬로 유명한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은 미미크리형 축제다.
그러나 이런 놀이이론을 축제에 적용하는 것이 갑자기 중단된다.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엑스터시를 창출하느냐에 따라 ‘신과의 교감’ ‘전투형태의 놀이’ ‘디오니소스적 오르지(통음난무의 잔치)’ ‘아폴론적 예술’이라는 4개의 범주로 여러 축제를 재분류한다. 놀이이론을 펼쳐놓고선 아곤형 축제만 남겨두고 다시 신화적 해석으로 건너 뛴 느낌이다.
이론적 모색에 열중한 탓인지 일관성이 부족하고, 여러 가지 축제 사례가 여기저기 겹쳐 등장하는 탓에 다소 혼란스럽다. 하지만 우리의 축제가 성공하기 위해선 대동(大同), 일탈, 전복, 재미, 환상이라는 축제의 본질적 요소를 되살려내야 한다는 통찰은 충분히 음미할 만하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권경애 변호사 “김어준·조국 수사하게 되는 날 오길”
오세훈이 윤석열보다 더 핫하다고?…잠깐 호기심이 부른 관심?
홍준표 “文, 원전비리 하나로도 중죄 못 면해…훗날 위해 MB·朴 사면해야”
권경애 “檢 악마화한 김어준·조국, 수사하게 될 날 오길”
노무현의 ‘선한 의지’와 문재인의 ‘착한 대통령’ 신드롬[최영해의 폴리코노미]
강원도에 ‘차이나타운’? 아니라는 최문순 해명에도 논란 지속, 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