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시집 낸 민중서정시인 김태정 "詩만 빼고 모두 버렸어요"

  • 입력 2004년 8월 2일 18시 38분


코멘트
등단 13년만에 첫 시집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을 내놓은 시인 김태정씨. 소박한 일상을 녹여 순정한 시어로 다듬어낸 그의 시는 ‘억세지 않은’ 민중서정시로 분류된다.- 박영대기자
등단 13년만에 첫 시집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을 내놓은 시인 김태정씨. 소박한 일상을 녹여 순정한 시어로 다듬어낸 그의 시는 ‘억세지 않은’ 민중서정시로 분류된다.- 박영대기자
시집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창비)을 읽다보면 낯선 시인 김태정이 궁금해진다. 시집에 적힌 이력은 1963년 서울 태생이라는 것, 그리고 1991년 계간 ‘사상문예운동’을 통해 등단했다는 두 가지뿐. 등단 연도로 미루어 ‘13년 만의 첫 시집’이라는 사실쯤은 더 알아챌 수 있겠다.

그의 시는 좀 더 많은 걸 알려준다. 그는 “개당 50원짜리 실밥 따기에 코피를 쏟으며”(‘시의 힘 욕의 힘’) “학비벌이 부업으로 야간대학을 다녔고”(‘까치집’),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색인 교정 아르바이트 일당 4만원으로 장만한 286컴퓨터로 시를 쓴다”(‘나의 아나키스트’). 요즘도 간간이 쓰는 그림동화의 글 부업은 그에게 “밥이 되고, 공과금이 되고, 월세가 된다”(‘궁핍이 나로 하여’).

시인 정우영은 그의 시를 일러 ‘민중서정시’라고 했다. 정 시인의 평처럼 “80년대의 억센 민중시가 구현하지 못한” 소담한 일상을 그린 김태정의 시들은 “순정해서 말갛고 깊다”.

‘네 뼈로 내 뼈를 세우리/네 살로 내 살을 보태리…은빛 비늘의 눈부심으로/무디어진 내 눈물을 벼리리/어느 날 문득 육지를 보아버린/네 그리움으로/메마른 서정을 적시리….’(‘멸치’)

13년이란 시간이 압축된 밀도 높은 시들과, 삶이 그대로 시가 되었을 때에 느껴지는 절실함과 진정성에 이끌려 지난달 29일 모처럼 서울을 찾은 시인을 도심에서 만났다. 화장기 하나 없는 얼굴에, 생머리를 뒤로 묶은 그는 35도까지 치솟는 찜통더위에도 셔츠의 단추를 목 끝까지 여민 채 나타났다. 그의 시가 그 모습 위에 겹쳐졌다.

“‘적당히’가 적당히 안 되는 불온한 시인이여….”(‘샤프로 쓰는 시’)

그는 올 초 땅끝마을인 전남 해남에서도 한참 더 들어간 시골마을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그는 TV도 없이 라디오를 벗 삼고, 작은 마당에 반찬거리 야채를 일구면서 시를 쓴다.

13년 만에 낸 첫 시집에 대해 그는 차분했다.

“어차피 평생 시를 쓸 거니까요, 시밖에 가진 게 없으니까요.”

그는 “시만 빼고 모든 것을 포기했다”고 했다. 왜 시를 쓰는가 물었다.

“시는 저를 숨쉬게 하는 유일한 통로예요.”

삶이 그의 시가 된 것이 아니라 시가 그의 삶 전체였다.

강수진기자 sjk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