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구 중 1가구 ‘나혼자 산다’… 교통 편한 광진구-동대문구 선호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30일 11시 37분


코멘트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인근 주민 게시판. (자료사진) 2020.3.20/뉴스1 © News1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인근 주민 게시판. (자료사진) 2020.3.20/뉴스1 © News1
1인 가구 증가세가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서 이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 광진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금천구, 관악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지역은 앞으로도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지역은 대체로 대학교가 밀집돼 있거나 약국, 주차장, 지하철, 노인복지관 등 편의시설과 교통이 발달된 곳들이다. 반면 도서관이나 공원면적, 체육시설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펴내는 학술지 ‘서울도시연구’ 최근호에 이런 내용이 담긴 논문 ‘생활인프라 특성이 1인 가구 분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게재돼 눈길을 끈다. 이 논문은 “1인 가구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도, 주거 및 지역사회서비스 부분에서 1인 가구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이들을 정책 및 서비스 대상자로 포괄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1인 가구 증가세 더 커졌다


실제로 통계청이 어제(29일)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 증가율은 갈수록 커졌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15.5%에서 지난해 31.7%로 2배로 증가했다.

그 결과 2015년부터는 1인 가구가 2인 가구를 제치고 제 1의 가구 형태가 되었다. 또 2015년 이후 2019년까지 매년 꾸준히 0.7~0.9%포인트(p) 증가했다. 그런데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5%p 늘어나며 증가폭을 키웠다.

반면 2인 가구는 지난해에 전년보다 0.2%p 늘어나는 데 그쳤고, 3인(0.7%포인트) 4인(0.6%p) 5인이상(0.5%p) 가구는 오히려 감소했다.

● 대학가 교통 편하고 편의시설 많은 곳 선호


그렇다면 1인 가구들은 주로 어디에 살까.

통계청의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시도별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전으로 전체 가구의 35.3%나 됐다. 뒤를 이어 강원(35.0%) 서울(34.9%) 충북(34.8%) 경북(34.4%) 충남(34.2%) 전북(33.8%) 전남(33.7%)의 순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경기도로 27.6%였다.

특히 서울의 경우 최근 들어 해가 바뀔 때마다 1인 가구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다. 2015년 29.5%에서 2016년에 30.1%로 0.6%p 늘어났고, 2017년(31.0%·증가폭 0.9%p) 2018년(32.0%·1.0%p) 2019년(33.4%·1.4%p) 2020년(34.9%·1.5%p)으로 바뀔 때다마 증가율이 커진 것이다.

서울시내에서 1인 가구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어디일까.

이에 대해선 서울연구원의 논문(‘생활인프라 특성이 1인 가구 분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은 2015~2018년까지 25개 행정구와 423개 행정동(위례동 제외)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논문에 따르면 1인 가구가 밀집된 지역은 행정동 기준으로 38곳이다. 대부분 광진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금천구, 관악구 등에 속한 곳들이다. 반면 1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덜 밀집한 지역은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등에 속한 38곳이었다.

1인 가구 밀집지역은 대체로 대학교와 복지시설, 약국, 주차장, 지하철역이 많은 곳이었다. 교통이 편리하고, 편의시설이 많으며, 복지시설이 갖춰진 곳이라는 뜻이다.

● 1인 가구 맞춤형 정책 개발 필요


논문은 결론에서 “1인 가구 거주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도 이런 의견에 동의한다. 핀란드(2015년 기준·41.0%)와 독일(37.3%) 일본(34.4%) 등 주요 선진국들의 사례들을 비춰볼 때 1인 가구가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정책은 여전히 3~4인 가구(부부+자녀) 중심으로 짜여 있다. 또 저출산 정책에 집중하면서 1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는 평가가 적잖다.

논문은 또 “(정책 마련에 있어) 1인 가구의 다양하고 변화하는 가구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활인프라는 1인 가구, 다인(多人) 가구 간 차이는 물론 1인 가구 구성 배경과 소득, 연령 등에 따라 매우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예컨대 1인 가구 중 중장년층과 노인 1인 가구는 기존에 거주하던 곳에서 계속 거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감안해 의료, 복지, 문화, 체육, 휴식 등에 필요한 생활 인프라를 지원해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