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의 포토저널리즘 역사 속 50년의 현장 기자 경험[청계천 옆 사진관]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6월 8일 14시 50분


코멘트

사진가 박태홍 사진집 “나는 사진기자입니다”

언론사 소속 사진기자들이 “사건을 보도하거나 기사를 보충하려는 목적으로 촬영”하는 활동을 포토저널리즘(photojournalism)이라고 한다. 그래서 사진기자를 포토저널리스트(photojournalist)라고 한다.

한국의 포토저널리즘은 민간 자본에 의해 일간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처음 선보인 1920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올해로 한국의 포토저널리즘 역사는 100년쯤 된다. 그리고 사진기자는 한국 포토 저널리즘 역사의 중심이다.

사진기자들은 입사 후 퇴사까지 거의 같은 일을 한다. 취재기자가 정치부, 산업부, 문화부, 레저부 등으로 부서와 출입처를 옮기는 것과 차이가 있다. 그렇다면 보통 사진기자들은 얼마나 오랫동안 일을 할까? 20대 후반에 입사해 정년퇴임한다고 가정하면 대략 30년 정도 사진기자로 포토저널리즘에 매진한다.

“나는 사진기자입니다”라는 사진집을 출간한 박태홍 기자의 이력 중 가장 특이한 것이 사진기자로 그가 지낸 시간이다. 1970년 한국일보 사진부에 입사해 2020년 뉴시스에서 퇴사할 때까지 정확히 50년간 사진기자로 살았다. 그가 젊음을 바친 1970년대와 1980년대는 한국 보도사진의 성장기였고 그 때 정립된 틀이 지금까지 이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가 완성해 후배 사진기자들에게 전해 준 포토저널리즘의 정수 110여 점의 사진을 엄선해 책으로 엮었다. “나는 사진기자입니다”이다(도서출판 눈빛, 2021년 5월, 156쪽). 100여 년의 한국 포토저널리즘 역사에서 50년을 포토저널리스트로 살았으니 그의 삶 자체가 살아있는 역사인 셈이다.

우선 눈에 띄는 게 1980년 광주 민주 항쟁 발생 3일 후인 5월 21일부터 현장에 들어가 촬영한 사진들이다. 흥분한 군중들에게 프락치로 오해받고 카메라를 압수당했다 돌려받는 우여곡절 끝에 그는 광주의 참상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건물 위에 숨어서 거리를 몰래 훔쳐보듯 찍었고, 차츰 시민군의 눈높이로 내려와 항쟁을 기록했다. 진압군의 총탄에 맞아 생을 달리한 시민군의 시체도 필름에 그대로 남아 있다. 어떤 말로 그 시간을 윤색하더라도,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군대가 국민을 향해 발포를 하고 죽임을 자행했다는 사실을 그의 사진이 증명하고 있다.

영화 택시운전사의 주인공인  힌츠 페터 독일 기자. 힌츠 페터 독일 기자가 전남도청 앞 분수대에서 열린 범시민궐기대회에서 계엄군의 만행을 보고하는 한 여성을 촬영하고 있다. 이 기자는 광주 참상을 세계에 보도하고 영화 <택시운전사>로 유명하며 사망 후 광주 5·18 구묘역 힌츠 페터 기념정원이 조성됐다. 1980. 5. 24
영화 택시운전사의 주인공인 힌츠 페터 독일 기자. 힌츠 페터 독일 기자가 전남도청 앞 분수대에서 열린 범시민궐기대회에서 계엄군의 만행을 보고하는 한 여성을 촬영하고 있다. 이 기자는 광주 참상을 세계에 보도하고 영화 <택시운전사>로 유명하며 사망 후 광주 5·18 구묘역 힌츠 페터 기념정원이 조성됐다. 1980. 5. 24

광주민주화항쟁 취재 때 가슴에 품고 다닌 메모  1980년 광주민중항쟁 당시 취재한 필름은 계엄군에게 빼앗길까 우려해 깊숙이 감추어둔 탓에 그동안 찾지 못했다. 그러다가 2018년 5월 한국일보 취재를 계기로 자료를 찾아 미공개 사진과 기사를 38년 만에 특집으로 보도할 수 있었다. 박태흥
광주민주화항쟁 취재 때 가슴에 품고 다닌 메모 1980년 광주민중항쟁 당시 취재한 필름은 계엄군에게 빼앗길까 우려해 깊숙이 감추어둔 탓에 그동안 찾지 못했다. 그러다가 2018년 5월 한국일보 취재를 계기로 자료를 찾아 미공개 사진과 기사를 38년 만에 특집으로 보도할 수 있었다. 박태흥

진압군과 시민군. 한 진압군이 전남도청 탈환작전중 피살된 한 시민군의 시신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1980. 5. 27.
진압군과 시민군. 한 진압군이 전남도청 탈환작전중 피살된 한 시민군의 시신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1980. 5. 27.


사진기자 박태홍의 필름 속 어린이들은 이제 환갑을 앞두고 있을 것이다. 1978년 5월 전라남도 여천군 둔병도에서 흑백 TV를 함께 보고 있는 초등학생들 사이로 파리를 잡기 위해 메달아 놓은 ‘찍찍이’도 보인다. 사진설명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보는 사람에 따라 많은 것을 뽑아낼 수 있는 게 보도사진의 묘미이기도 하다.

TV단체 시청. 전남 여천군 화정면 둔병도 어린이들이 동네에서 유일하게 흑백 TV가 있는 김원백 씨 집에 몰려와 전국 어린이와 같은 시간대에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 1978. 5. 27.
TV단체 시청. 전남 여천군 화정면 둔병도 어린이들이 동네에서 유일하게 흑백 TV가 있는 김원백 씨 집에 몰려와 전국 어린이와 같은 시간대에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 1978. 5. 27.


박태홍 기자를 가장 유명하게 만든 사진은 “기적의 소녀, 조수아 양”이다. 1972년 12월 2일, MBC 개국 11주년 기념 ‘남녀 10대 가수 청백전’이 열린 서울 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 폐막 직후 무대장치 합선으로 불이나 53명이 사망하고 76명이 부상당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사진기자를 시작한 지 만 3년이 안된 박 기자는 많은 관람객이 한꺼번에 탈출하여 아우성을 치는 가운데 조수아(당시 6세)어린이의 왼발이 3층 회전 창문 틀에 걸려 거꾸로 매달려 있는 모습을 단독 촬영해 한국보도사진전 금상을 받았고, 국제 콘테스트인 세계보도사진전에서 은상을 받았다. 이 사진은 당시 언론 검열을 하던 공무원들에 의해 “불안을 조성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신문에 실리지 못했다. 하지만 박태홍 기자는 조수아 양의 입원과 퇴원, 그리고 초등학교 입학 및 20년 후 결혼식 모습까지 기록했다.

화재 현장의 조수아 양. 1972. 12. 2 한국보도사진전 금상(1973), 한국 기자협회 기자상, 세계보도사진전 은상 수상작.
화재 현장의 조수아 양. 1972. 12. 2 한국보도사진전 금상(1973), 한국 기자협회 기자상, 세계보도사진전 은상 수상작.

기적의 소녀 조수아 양의 결혼식.  조수아 양이 신촌예식장에서 노승환 국회부의장 주례로 결혼식을 올리고 난 후 생명의 은인 이영주(오른쪽) 소방관, 한국일보 사진부 박태홍 기자(왼쪽)와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수아 양은 결혼 후 세상에 더 알려지는 것을 사양해 이것이 마지막 사진이 됐다. 그 후 의정부시에서 부군 그리고 딸 셋과 행복하게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1989. 3. 26
기적의 소녀 조수아 양의 결혼식. 조수아 양이 신촌예식장에서 노승환 국회부의장 주례로 결혼식을 올리고 난 후 생명의 은인 이영주(오른쪽) 소방관, 한국일보 사진부 박태홍 기자(왼쪽)와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수아 양은 결혼 후 세상에 더 알려지는 것을 사양해 이것이 마지막 사진이 됐다. 그 후 의정부시에서 부군 그리고 딸 셋과 행복하게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1989. 3. 26


토속적인 정감은 박태홍 기자의 사진을 관통하는 특징이다. 현란한 기교를 통한 시각 충격보다는 대상 그 자체에 충실한 사진. 그래서 그의 기록은 우리가 지내온 시대와 일상을 담담하게 증언하고 있다.

교련 거부 대학생 입영. 교련 거부 데모 주동 학생으로 지목된 서울지구 대학생 30여 명이 용산역에서 논산훈련소로 가는 입영 열차를 타고 출발을 기다리고 있는 가운데 전송나온 어머니와 친구들이 따뜻한 물을 주며 이별을 아쉬워하고 있다. 1971. 10. 26
교련 거부 대학생 입영. 교련 거부 데모 주동 학생으로 지목된 서울지구 대학생 30여 명이 용산역에서 논산훈련소로 가는 입영 열차를 타고 출발을 기다리고 있는 가운데 전송나온 어머니와 친구들이 따뜻한 물을 주며 이별을 아쉬워하고 있다. 1971. 10. 26

금주. 
순국 영령을 추모하고 음주 가무가 금지된 현충일에 ‘어머니 술을 마시지 마세요’라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는 서울 성북구 정릉유원지에서 여인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춤을 추고 있다. 1971. 6. 6
금주. 순국 영령을 추모하고 음주 가무가 금지된 현충일에 ‘어머니 술을 마시지 마세요’라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는 서울 성북구 정릉유원지에서 여인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춤을 추고 있다. 1971. 6. 6

소독차를 따라다니는 어린이들. 서울시가 서울 성북구 정릉2동에서 소독을 하자 어린이들이 방역 자동차에서 뿜어져 나온 흰 연막을 따라다니며 즐거워하고 있다. 1971. 6. 13
소독차를 따라다니는 어린이들. 서울시가 서울 성북구 정릉2동에서 소독을 하자 어린이들이 방역 자동차에서 뿜어져 나온 흰 연막을 따라다니며 즐거워하고 있다. 1971. 6. 13

어린이의 꿀잠.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 동천마을 주민들이 협동작업 모내기를 하다 논두렁에서 잠깐 쉬는 사이 한 어린이가 아빠의 등에 엎드려 꿀잠을 자고 있다. 1972. 6. 2
어린이의 꿀잠.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 동천마을 주민들이 협동작업 모내기를 하다 논두렁에서 잠깐 쉬는 사이 한 어린이가 아빠의 등에 엎드려 꿀잠을 자고 있다. 1972. 6. 2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