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칼럼/김기용]中, 문화교류 원하면 한한령부터 해제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4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한중 정상 통화 후에도 한국 게임 허가 1건뿐
문화교류 선언 없던 일본 게임은 15건 허가

김기용 베이징 특파원
김기용 베이징 특파원
중국은 한국과 문화교류를 할 생각이 있는 것일까. 특별히 올해를 ‘한중 문화교류의 해’라고 선언까지 했는데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교류는커녕 중국 누리꾼들은 평범한 수상 소감을 트집 잡아 방탄소년단(BTS)을 비난했고, BTS 관련 제품 불매운동까지 벌였다. 또 김치와 한복의 기원이 중국이라고 주장하는 등 자극적인 ‘문화 테러’까지 벌이고 있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이런 일을 부추긴다.

문화교류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는 뜨뜻미지근하다. 1월 26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통화에서는 한중 문화교류가 주요 화제 가운데 하나였다. 특히 시 주석은 “내년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자”면서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문화교류 확대를 직접 얘기했다.

한중 정상 간 통화 후 2주쯤 지나 중국 게임 당국이 외국 게임에 대한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표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중국 정부가 약 4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 게임 1건에 대해 판호를 발급한 바 있다. 마침 시 주석이 한중 문화교류 확대 얘기까지 했으니 이번엔 다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결과는 1건 발급에 그쳤다. 얼마나 많은 한국 게임이 판호를 신청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베이징에 있는 한국 게임 관계자는 “한국 게임산업 규모와 수준 등을 고려했을 때 결코 적은 수는 아닐 것”이라고 했다. 당시 많은 한국 언론들은 아쉬움을 전하면서도 판호 발급이 1건이라도 이뤄진 사실에 주목했다. “한국 대중문화 수입 금지령인 이른바 ‘한한령(限韓令)’ 해제 신호탄”이라는 긍정적인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하나 있다. 당시 중국 당국은 외국 게임 총 33개에 대해 판호를 발급했다. 이 중 일본 게임이 15개였다. 미국 게임은 4개, 대만 3개, 프랑스 2개, 캐나다 1개, 영국 1개 등이었다. 지난해 12월에도 총 42개의 외국 게임 중 일본 게임은 13개였다. 지난 1년간 판호를 1건만 받은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스페인 러시아 폴란드 아이슬란드 등이었다. 한국 게임산업의 수준에 비례한 결과는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한한령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에 대한 중국의 보복 조치다. 그런데 최근 중국의 외교 정책을 대놓고 비판하는 일본이나 오랜 역사적 앙금에서 비롯된 중국인들의 반일 감정만 놓고 보자면 상황은 사드 때보다 더 심각하다. 최고 수준의 ‘한일령(限日令)’이 내려져야 맞는 분위기다. 하지만 아무 제재가 없다. 중국은 한국에만 큰소리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또 한중 문화교류를 외치고 있다. 3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푸젠성 샤먼(廈門)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을 만나 한중 문화교류 얘기를 또 꺼냈다.

다시 한번 궁금해진다. 중국은 과연 한국과 문화교류를 할 생각이 있는 것일까. 이제 중국이 해야 할 일은 선언과 약속이 아니라 실천과 실행이다. 한국 게임에 대해 공정하게 판호를 발급하고, 대기 중인 한국 영화와 드라마 등도 허용해야 한다. 미중 관계나 국제적 움직임과 관계없이 문화교류를 과감하게 진행시켜야 한다. 그래야만 한국에서 갈수록 커지고 있는 반중 감정을 조금이나마 누그러뜨리고 내년에 의미 있는 수교 30주년을 맞을 수 있다.

김기용 베이징 특파원 kky@donga.com
#중국#문화교류#한한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