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벽화엔 커다란 소 한 마리와 세 인물이 등장한다. 한 사람은 소의 뿔을 붙잡고, 다른 사람은 공중에 떠 있으며, 나머지 한 명은 소를 향해 팔을 뻗었다. 에번스는 이 벽화의 주제를 성난 황소를 몰아 죽음에 이르게 하는 ‘투우’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그것은 고대 문명이 호전적일 거라고만 생각했던 영국인의 편견이었다.
고대 그리스·로마보다 앞섰던 미노아 문명은 해상 교역으로 부를 이뤘다. 미케네 그리스인이 쳐들어왔을 때도 문화적 공생 관계를 유지했다. 온건한 사회 분위기에 비추어 최근 연구는 이 벽화가 종교 의식을 다뤘다고 본다. 그림을 봐도 투우에 사용되는 칼이나 창은 등장하지 않는다.

책장을 넘기며 기록되지 않은 문명의 다채로운 모습을 알아가는 과정은 놀라움의 연속이다. 터키 아나톨리아 고원의 신석기 유적지 차탈회이위크에서는 여성에게 중요한 문화적 역할을 부여한 흔적이 남아 있다. 당시 사람들은 죽은 사람을 땅에 매장하고 피부가 썩고 나면 머리뼈만 가져와 집 안에 모셨다. 그런데 발견된 머리뼈가 모두 여성의 것이었다. 이는 여성 조상을 가정에서 중요하게 여겼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곡식 저장고에서는 표범 두 마리의 호위를 받는 여인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중국 신장 자치구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미라(기원전 2000∼기원전 1800년)는 DNA 검사 결과 유럽인의 선조로 밝혀졌다. 그러자 발굴 작업에 참가했던 중국 고고학자들은 ‘이방의 악마’라고 불쾌해하거나, 이 미라의 전시를 거부하기도 했다. 국가주의를 중심으로 한 역사의 한계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문명이 사라지는 이유도 가지각색이다. 수백 년간 교역으로 번성한 미노아 문명은 화산 폭발로 한순간에 무너졌다. 차탈회이위크는 기원전 7800년 무렵 발생한 기후 온난화로 등장한 말라리아모기가 가져온 전염병으로 종말을 맞았다. 이스터섬과 인더스 문명은 소빙하기가 닥치자 멸망했다.
저자는 핀란드에 거주하는 독일인 언어·문화학자다. 그는 여러 문명을 분석해 커다란 경향성을 보여주기보다 최신 연구 결과를 충실히 나열하는 데 집중했다. 베일에 가려진 역사의 여러 가능성을 상상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이기홍 칼럼]집수리 맡겼더니 기둥 다 부수려 드나
[김순덕의 도발]조율 없는 신년회견이 무슨 자랑이냐
조은산 “文 40%지지율이 성공한 대통령?…트럼프도 41%”
[e글e글]“유시민, 세상 뒤집어 놓고 사과로 퉁?” 비판 쏟아져
文대통령 지지율, 또 최저치 37%…등 돌린 20대 표심
한동훈 “유시민 1년간 거짓 선동 계속…필요한 조치 검토”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