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금감원에서 동아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연착륙하지 않으면 내수경기가 둔화되고 가계도산이 이어져 재정의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가 재정에 대해 말할 입장은 아니지만 서민금융 지원은 금융당국만으로 안 된다는 소신이 있어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원장은 “서민을 배려하지 않고 가계부채 대책이 강행된다면 영세 서민과 저소득층은 돈을 빌릴 데가 없어 연쇄 파산에 이르게 된다”며 “300조 원이 넘는 1년 예산 중 일부를 서민들이 이용하는 대출상품에 정부가 보증을 서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지역신용보증재단이 소상공인들에게 보증을 서는 재원을 확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3월 말 현재 전체 금융이용자 4000만 명 중 7등급 이하는 660만 명이며 2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150만 명에 이른다. 이 중 130만 명은 은행과 비은행권에서 각각 돈을 빌린 저신용 다중채무자이다.
권 원장은 저신용자 660만 명과 함께 생계형 자영업자 170만 명 등 800만 명 이상이 서민금융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라고 추산했다. 그는 “새희망 홀씨, 햇살론, 미소금융 등 3대 서민금융상품은 지원 대상과 규모가 제한적이어서 800만 명이 넘는 서민층의 금융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또 그는 “부동산경기 침체와 내수부진이 심화되면 빚을 내 구입한 집 때문에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하우스 푸어(House poor)나 신규 자영업자 등이 새로운 서민금융 수요층으로 편입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빚을 내서 집을 산 900만 가구 중 70만 가구는 총부채상환비율(DTI)이 40%가 넘어 빚을 갚기 어려운 하우스 푸어다.
황진영 기자 budd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