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日국보「백제관음상」「목조반가사유상」

  • 입력 1998년 2월 19일 08시 32분


일본의 대표적 국보인 나라(奈良) 호류지(法隆寺)‘백제관음상’과 교토(京都) 고류지(廣隆寺)‘목조(木造)반가사유상’. 이들 두 목조불상은 삼국시대때 한반도에서 만들어져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제관음상은 이름에 ‘백제’가 들어있다는 점에서, 반가사유상은 얼굴과 전체적인 모습이 우리의 금동미륵반가사유상(국보83호)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과연 그러한가. 지금으로선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우리 것이라는 뚜렷한 증거가 거의 없다. 물론 앞으로 결정적인 자료가 발견될 수는 있지만. 우선 호류지 백제관음상을 보자. 백제에서 만들어졌다는 물증이 거의 없다. ‘백제’라는 단어를 너무 쉽게 우리 쪽으로 해석한 경우다. 대표적 백제불상인 서산 마애삼존불 왼쪽 협시보살의 얼굴과 비슷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실은 다르다. 유달리 길고 늘씬한 몸매에 길쭉한 얼굴은 백제풍이라 하기 어렵다. 오히려 중국 수(隋)나라 불상에 가까운 편. 강우방국립경주박물관장(불교미술사)은 “이 불상의 이름은 17세기 이후인 에도(江戶)시대에 붙여진 것으로 ‘백제’라는 이름은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설명한다. 다음은 고류지 목조반가사유상. 7세기 신라에서 만들어져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주장의 근거는 나무 종류와 제작 방법, 관련 기록 등. 일본 목조불상 대부분의 재료가 히노키(檜·노송나무)인데 반해 이 반가상은 당시 신라에 많이 자라던 적송(赤松)이라는 점. 일본 목조불상이 대개 신체의 여러 부분을 따로 만들어 조립한 반면 이것은 하나의 통나무를 깎아서 만들었기에 일본양식과 다르다는 점. 또한 ‘일본서기’에 ‘신라 사신이 불상1구와 금탑 사리 등을 고류지에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불상이 바로 이 목조반가상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이 세가지 근거를 뒤집어보면 그대로 허점이 드러난다. 적송은 한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본에도 있음이 밝혀졌다. 삼국시대 목조불상이 국내에 전혀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즉 비교할 대상이 없는데도 재질과 제작방법이 일본의 보통 양식과 다르다는 사실만으로 신라 것이라 보는 것은 무리다. 또한 일본서기에 나오는 불상이 바로 이 목조반가상이라는 주장도 지나친 추론이다. 강우방관장은 문제의 이 목조반가상을 우리 반가사유상의 모작으로 본다. 모작이기에 삼국시대 양식을 띠고 있기는 하지만 역시 모작일 뿐이다. 일본의 목조불상이 백제 신라 등 삼국의 영향을 받은 것은 엄연한 사실. 그렇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삼국시대 불상이라 말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들 두 불상도 ‘백제 신라의 영향을 받은 일본 작품’으로 보아야 한다. 학문세계에서 국수주의보다는 지적 엄격성이 우선돼야 함을 일깨워주는 대목이 아닐까. 또한 고류지 목조반가사유상이 일본 국보1호라는 것도 잘못 알려진 사실. 우리와 달리 일본 국보엔 지정번호가 없다. 〈이광표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