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차남 賢哲(현철)씨의 국회청문회 출석을 앞두고 여야는 당력을 집중해 공격과 방어를 하기 위해 「창」과 「방패」를 가다듬고 있다.
▼ 신한국당
대통령의 분신처럼 여겨온 현철씨의 청문회출석이 여권 전체에 대한 불신과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그렇다고 뾰족한 대책이 있는 것도 아니다. 현철씨를 강하게 밀어붙이자니 김대통령이 걸리고 두둔이나 침묵으로 일관하자니 국민의 눈총이 따가울 것이기 때문이다.
신한국당은 19일 오전 당직자 회의를 열어 한보청문회 대책을 논의했지만 현철씨 문제에 대해서만은 별다른 얘기가 없었다. 李會昌(이회창)대표는 이날 청와대 주례보고에서 현철씨가 증인으로 나오게 된 데 대해 유감의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朴熺太(박희태)원내총무는 『18일 3당총무협상 결과 현철씨에 대해서는 사실상 질문 범위의 제한이 없어졌다』며 『현철씨가 나오면 야당으로부터 별별 얘기가 다 나올 것』이라고 걱정했다.
당의 또 다른 관계자도 『야당이 청문회가 TV로 생중계된다는 점을 악용해 설만 가지고 현철씨를 몰아붙이는 방법으로 국민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켜도 꼼짝 못하고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신한국당은 현철씨가 증언대에 서는 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는 게 상책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한보특위 소위원장인 신한국당 朴憲基(박헌기)의원은 벌써부터 『증인이 현철씨든 누구든 하루만 나오는 게 관례』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야권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이번 국조특위에서도 양당공조를 펼쳐나갈 계획이다. 특히 이번 국정조사에서 한보특혜 사건은 물론 현철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집중규명,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현정권의 실정을 부각시킨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국민회의는 20일 특위위원 5명이 참석한 대책회의를 열어 △현철씨 개입의혹〓趙舜衡(조순형)의원 △한보부도원인〓金元吉(김원길)의원 △한보자금유용의혹〓李相洙(이상수)의원 △한보철강인허가문제〓金景梓(김경재)의원 △금융기관대출과정〓金民錫(김민석)의원 등으로 역할을 분담했다.
국민회의는 또 특위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실과 원내총무실 당사무처 보좌관 등 20여명으로 실무지원반을 구성했으며 대출과정의 문제점을 따지기 위해 전 은행원도 임시로 고용했다. 특위위원들은 독자적으로 메가톤급의 관련사실을 폭로하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자민련도 이날 국회에서 李麟求(이인구) 李良熙(이양희) 李相晩(이상만)의원 등 특위위원 3명과 실무지원반 11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어 앞으로 조사일정과 세부계획 등을 검토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번 국조특위가 단순히 한보부도사태 수준을 넘어선 만큼 현철씨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파헤치는 데 중점을 두기로 기본방향을 설정했다.
자민련은 특히 이번에 검찰이 「서류제출 및 검증기관」으로 선정됐기 때문에 일단 자료조사를 통해 축소은폐 의혹을 밝혀내고 필요하면 현장검증방문에 나서 「검찰 길들이기」의 기회로 삼는다는 내부 전략이다.
〈최영묵·박제균·이철희기자〉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