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로 신체적 움직임과 일상 대화조차 어려운 중증장애 학생이 대학에서 9년간의 학업을 마치고 박사학위를 받는다. 그의 곁에는 경제적 지원을 비롯해 헌신적으로 가르침을 준 지도교수가 있었다.
19일 대구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언어청각장애아교육 전공 유장군 씨(27)는 오는 21일 열리는 대학원 학위수여식에서 문학 박사학위는 물론 우수연구상과 총동창회장상을 받는다.
유장군 학생. 대구대 제공중증장애(심한 지체 및 뇌병변 장애)가 있는 유 씨는 2016년 이 대학 초등특수교육과에 입학했다. 가족 없이 혼자 생활하던 유 씨를 최성규 교수(65)는 세심히 보살폈다. 정부지원금으로 어렵게 지내던 유 씨가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입학금 300만 원이 없어 고민할 때도 최 교수는 선뜻 입학금을 내줬다. 최 교수는 20여 년의 교수 생활 동안 유 씨뿐 아니라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 총 7600만 원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씨는 학사 시절부터 석·박사 과정까지 9년간 최 교수와 동고동락했다. ‘콜라대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콜라를 좋아하지만 혼자 병뚜껑을 따지 못하는 유 씨를 위해 최 교수는 항상 옆에서 병뚜껑을 따줬다.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였지만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았던 적도 있다. 최 교수는 학부 4학년이 된 유 씨에게 교원 임용시험 준비를 권했다. 본인도 어려운 가정형편 속에서 공부했기에 유 씨가 교사가 된 후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갖추고 미래를 준비하길 바랐다. 하지만 제자의 대학원 진학에 대한 열정을 꺾지 못했다.
유 씨가 대학원에 진학한 후에도 최 교수는 ‘지체장애’ 분야 공부를 권했지만, 유 씨는 ‘청각장애’ 분야를 공부한 최 교수에게 배우는 것을 선택했다. 학업에 남다른 열의를 보였던 유 씨는 자신이 좋아하는 수업의 경우 청강을 포함해 7번이나 들은 적도 있다고 한다. 최 교수는 “(유 씨는) 일반 학생들과 경쟁해서도 절대 뒤처지는 법이 없었고, 오히려 더 저를 놀라게 할 때가 많았다”고 전했다.
이 같은 열정으로 유 씨는 박사 과정 재학 기간 7편의 논문을 단독 또는 제1저자로 게재했다. 이 가운데 2편은 국제학술지에 실렸다. 은사인 최 교수와는 ‘장애인 교원의 교직 입문 전과 후의 교직 발달에 대한 질적연구’ 논문을 공동 집필했다.
최성규 교수. 대구대 제공향후 유 씨는 최 교수의 예전 조언대로 교원 임용시험을 준비할 계획이다. 그는 “경제적으로 자립한 후 미국 유학을 다녀와 최 교수님과 같은 교수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최 교수도 제자의 졸업에 맞춰 이달 말 퇴임한다. 그는 대학 강단을 떠나 청각장애인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활동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