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 ‘1위’ 제주… 남는 전력량 사용 해법 모색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초과발전 정전 우려에 출력 제한
저장시설-유통체계 연동 구축 등
향후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대비를

제주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동복·북촌 풍력개발단지 전경. 제주에는 이곳을 포함해 총 6곳의 풍력단지가 있다. 제주에너지공사 제공
제주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동복·북촌 풍력개발단지 전경. 제주에는 이곳을 포함해 총 6곳의 풍력단지가 있다. 제주에너지공사 제공
15일 제주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동복·북촌 풍력개발단지에서는 총 길이 84.4m에 이르는 거대한 풍력발전기 날개가 힘차게 돌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이날 단지 내 15기의 발전기 중 가동되고 있는 것은 2기뿐이었다. 강상현 제주에너지공사 재해안전운영총괄팀장은 “오늘 아침 제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너무 많아서 전력거래소로부터 출력을 제한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말했다.

제주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면서 오히려 초과 생산으로 인한 출력 제한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50년까지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가 불가피한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확대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기자가 방문한 동복·북촌 풍력개발단지를 포함해 제주 내 풍력단지는 총 6곳이다.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의 연평균 풍속이 초속 1∼2m인 반면에 제주는 도심 일부를 제외한 전역에서 연평균 초속 6m(시속 22km) 이상의 바람이 분다. 이날 구좌읍 발전단지에도 초속 6m 이상의 바람이 불고 있었다. 발전기 15기를 돌리기에 충분한 바람이다.

그러나 이곳을 포함해 제주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은 수시로 발전기 가동을 멈추고 있다. 생산량이 일정치 않다는 이유로 한국전력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만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곳과 그 양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산 전력이 일정량을 초과하면 출력 제한 조치가 내려진다. 제주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25회의 출력 제한 조치를 받았다.

현재 제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18.31%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1위다. 도는 2030년까지 도내 전력 수요를 모두 신재생에너지만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면 늘수록 출력 제한 등의 문제는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는 손쉬운 방법은 육지로의 전력 전송. 제주와 육지 간에 전선이 연결돼 있기 때문에 남는 전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강 팀장은 “한국전력이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불안정 등을 이유로 (전력 전송을) 불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남는 전력을 소화하기 위해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개발하고 있다. ESS는 전력이 많이 생산될 때 이를 저장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 내보낼 수 있는 ‘전기저장시설’이다. 동복·북촌 풍력단지는 남는 전력으로 연간 수소 1000t을 생산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 12월 설비가 구축되면 하루 최대 1t의 수소를 만들어 수소차에 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강영심 제주도 저탄소정책과 CFI(탄소없는섬)총괄팀장은 “제주가 현재 겪는 문제는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확대되면 어느 지역이나 봉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함께 에너지저장시설, 송·배전 유통체계, 수소 경제 등이 연동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신재생에너지#발전비율 1위#전력량 사용#해법 모색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