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으로 가자]<7>남북 ‘생태통일’ 먼저

  • Array
  • 입력 2012년 11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벌거숭이 北韓 산 계속 방치땐… 통일이후에 부담 더 늘어날 것”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 있는 한 야산. 곡식 생산을 위해 무분별하게 농지로 전용해 일명
‘다락밭’으로 만드는 바람에 도시 뒷산이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모습이다. 산림청 제공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 있는 한 야산. 곡식 생산을 위해 무분별하게 농지로 전용해 일명 ‘다락밭’으로 만드는 바람에 도시 뒷산이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모습이다. 산림청 제공
‘나무 심으러 북한 가자’는 얘기가 솔솔 나온다. 직접 가자는 얘기가 아니다. 황폐화된 북한 산림을 방치할 경우 통일 이후 부담이 더욱 크기 때문에 지금부터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 경제 사회적 통일과 관련 없이 ‘생태 통일’을 먼저 해야 한다는 뜻이다.

○ 나무 베고 밭 만든 북한의 산

화두를 던지는 곳은 산림청이다. 우선 정확한 실태 분석을 마친 뒤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자는 게 산림청의 방안이다. 산림청은 지난달 1일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나무 심는 사람들’(대표의원 강기정)과 녹색사업단 및 임업 관련 단체 관계자, 산림학과 교수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세대를 위한 산림비전 공유 심포지엄’을 열었다. ‘나무 심는 사람들’에는 강기정 의원을 비롯해 박병석 국회부의장, 최규성 농림수산식품위원장, 김정훈 정무위원장, 신기남 서영교 박민수 김현 김윤덕 의원 등 여야 의원 10여 명이 참가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 심포지엄에서 국민의 쉼터이자 삶터로 재조명받고 있는 산림의 기능을 강조하고, 산림복지와 일자리 창출을 입법으로 뒷받침하는 방안을 요청했다. 특히 한반도 생태통일을 위해 북한 산림의 복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북한 산림은 1980년대까지는 비교적 울창했다. 하지만 1990년대 중후반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면서 굶어 죽는 주민이 속출하고 산림 개간으로 밭이 늘어나면서 지금은 복구조차 힘들어졌다는 것. 2008년 북한의 총산림면적은 899만 ha로 1999년에 비해 17만 ha가 감소했다. 특히 황폐화된 곳은 284만 ha로 같은 기간 121만 ha가 늘었다. 이는 전체 산림의 32%에 해당한다. 식량증산을 위해 ‘다락밭’을 조성하는 등 산지를 과도하게 농지로 전용(개간산지 132만 ha)하거나, 땔감을 구하기 위해 마구잡이로 벌채한 후 방치(무립목지 141만 ha)한 탓이다. 병충해나 산불, 수해 등도 원인이다.

○ 지금부터 지원해야 경제적

한국은 1999년부터 민간단체 중심으로 육묘 및 병충해 방지기술을 북한에 전수했다. ‘북한의 남산’으로 불리는 평양 용악산에 잣나무와 상수리나무 30만 그루를 심기도 했다. 하지만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산림복구 지원사업은 2009년 이후 중단됐다.

이돈구 산림청장은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북한 산림 지원은 비정치적인 문제”라며 “어떤 성격의 정부가 들어서든 비켜가서는 안 될 과제”라고 지적했다. 통일 이후에 대대적인 조림 사업을 시작하면 지금 시작하는 것보다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진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이 청장은 또 “조림과 동시에 연료 지원도 병행해야 나무를 벌채해 땔감으로 쓰는 일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무 심는 사람들’도 산림 복구 및 남북 산림협력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강기정 의원은 심포지엄에서 “실현 가능한 북한 산림 복원방안이 입법에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하 산림청 산림자원국장은 “안정적으로 북한 산림을 복구하려면 서둘러 대화채널을 구축해야 한다”며 정부와 민간이 참여하는 북한산림복구협의회의 구성을 제안했다.

대전=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북한#양강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