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직접 대국민 브리핑을 하며 밝힌 ‘영일만 석유·가스 탐사시추’(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이 정부에서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대왕고래 1차 시추 결과를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가스 징후가 일부 있었음을 확인했으나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어서 경제성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구체적인 수치와 데이터는 전문 분석이 끝나야 값을 얻을 수 있어 지금은 말씀드릴 수 없다”면서도 “대왕고래 자체의 가스 징후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총 47일간 탐사를 진행했다. 웨스트 카펠라 시추선을 활용해 바닷속 땅을 1761m 깊이로 파내려가 데이터를 수집했다. 바다의 수심을 고려하면 전체 목표 심도는 3021m 정도다.
이후 전문 분석은 입찰을 통해 분석기관을 선정해 진행할 예정이다. 약 6개월 정도가 걸리며 5월 말~6월 초에 중간 조사 결과가, 8월 경에 최종 조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예측하고 있다.
대왕고래는 정부가 탐사 시추 계획을 세운 7개 유망구조 중 하나다. 이 관계자는 “(대왕고래가) 당초 예측보다는 양호한 형태의 석유 시스템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질학적 관점에서 보면 나머지 6개 유망구조에서 조금 더 좋은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하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일 경북 포항시 구룡포홍게통발어민들이 탄 어선들이 동해심해가스 석유전 개발사업인 ‘대왕고래’ 1차 시추작업 지점인 포항 앞 바다에서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 앞에서 어장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해상시위를 벌이고 있다. 뉴스1정부는 ‘좋은 가능성’을 판단한 이유로 바닷속 지형의 형태가 석유나 가스를 매장·보관하기 좋은 구조로 유지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가스가 생성되는 ‘근원함’과 이를 보관하는 ‘저류층’, 밀폐할 수 있는 ‘덮개함’ 등이 이상적으로 분포되어야 유전이나 가스전 생성 확률이 높아진다. 산업부는 “이번 대왕고래 시추에서 동해 심해에 저류층과 덮개함이 생각보다 더 두터운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다만 이 같은 구조에도 불구하고 핵심이 되는 가스 포화도가 경제성을 확보할 만큼 높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지난해 윤 대통령이 직접 탐사시추 계획을 발표할 당시 예상 성과를 지나치게 부풀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직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기자들을 대상으로 브리핑을 하며 “최대 매장 가능성으로 보면 140억 배럴 정도까지도 가능성이 있다”며 “동해 석유·가스전의 매장 가치가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수준”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당시 삼성전자 시총을 440조 원으로 계산하면 약 2200조 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계산됐다.
이에 대해 산업부 측은 “첫 발표는 생각하지 못한 정무적 영향이 개입되는 과정에서 (안 장관의) 비유가 많이 부각됐다”며 “의도하지 않았지만 그런 결과가 나온 데 대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