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반짝하다 끝난 사례 많아
국민 눈높이 맞는 시대정신 제시를

야권 대선주자 여론조사 선호도 1위인 윤 전 총장이 현실 정치에 한 걸음 더 다가섰지만, 일부 야권 인사들은 마냥 반기는 분위기만은 아니다. 그가 문재인 정부의 첫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이른바 ‘적폐수사’의 선봉에 서서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과 지난 정부 핵심 인사들을 구속시킨 악연이 있기 때문이다.
친박(친박근혜)계 출신의 한 전직 의원은 5일 “윤 전 총장의 수사로 고통을 겪은 전 정권 인사가 한두 명이 아닌데, 박 전 대통령의 고향에 가서 표를 달라고 하는 건 도리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날 일부 야당 의원은 수사를 받던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은 전 정부 인사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야권의 또 다른 우려는 윤 전 총장이 ‘반기문 시즌2’를 연출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윤석열 대망론’을 기대하며 야당 정치인들이 윤 전 총장에게 힘을 집중했다가 ‘정치 초보자’인 윤 전 총장이 실언 등 초보 정치인의 실수를 잇달아 노출할 경우 대선을 코앞에 두고 회복하기 힘든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2017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나 지난해 황교안 전 대표 등 고관 출신들이 대선 직행을 노리다가 ‘종합예술의 장’인 정치판에서 한계를 드러낸 사례가 많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이 차기 대선의 시대정신과 자신을 일치시키는 것도 큰 과제다. 윤 전 총장을 상징하는 ‘법치’나 ‘부패 척결’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반대’ 등의 키워드는 정치·사회적으로 의미가 큰 이슈인 것은 틀림없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민생 문제에 관심이 많은 지금의 일반 대중에게 직접 와닿는 어젠다로 보기는 어렵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 전 총장이 사퇴를 앞두고 이틀 연속 ‘법치주의가 무너지면 가장 큰 피해는 국민에게 간다’고 반복적으로 강조한 것도 자신의 정계 진출 이유를 일반 대중과 연결시키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
권경애 변호사 “김어준·조국 수사하게 되는 날 오길”
오세훈이 윤석열보다 더 핫하다고?…잠깐 호기심이 부른 관심?
홍준표 “文, 원전비리 하나로도 중죄 못 면해…훗날 위해 MB·朴 사면해야”
권경애 “檢 악마화한 김어준·조국, 수사하게 될 날 오길”
노무현의 ‘선한 의지’와 문재인의 ‘착한 대통령’ 신드롬[최영해의 폴리코노미]
강원도에 ‘차이나타운’? 아니라는 최문순 해명에도 논란 지속, 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