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서울국제심포지엄]폴 마틴 前加총리 ‘G20 역할 확대’ 전도사 나선 까닭은

  • Array
  • 입력 2010년 9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G8만으론 정치-경제-환경 등 글로벌 이슈 조율 한계”

《세계 유수의 석학과 국제기구 및 정부 관계자들이 대거 참가한 주요 20개국(G20) 서울국제심포지엄이 28일 이틀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G20 서울정상회의를 한 달 반 앞두고 열린 이번 심포지엄은 사실상 G20 서울정상회의의 예비행사 성격이 강해 정부에서도 큰 관심을 가졌다.특히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 정부가 관심을 갖고 이슈화하려는 G20 정상회의 체제의 제도화와개발도상국의 개발 이슈가 사실상 처음으로 공론화돼 치열한 토론이 벌여졌다. 모두 6개 세션으로 진행된 첫날 심포지엄에는 400여 명이 찾아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29일에도 2개 세션이열리며 사공일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장이 ‘G20, 위기를 넘어 글로벌조정위원회로’라는 주제로 원탁회의를 주재한다.》

첫 번째 G20 재무장관 회의의 의장으로 G20 역할 확대를 주장해온 폴 마틴 전 캐나다 총리(가운데)와 사공일 G20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위원장(오른쪽)이 28일 G20 서울국제심포지엄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11월 서울에서 열릴 제5차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G20의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첫 번째 G20 재무장관 회의의 의장으로 G20 역할 확대를 주장해온 폴 마틴 전 캐나다 총리(가운데)와 사공일 G20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위원장(오른쪽)이 28일 G20 서울국제심포지엄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11월 서울에서 열릴 제5차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G20의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훈구 기자 ufo@donga.com
28일 개막된 G20 서울국제심포지엄에서 가장 많은 시선이 집중된 해외 연사는 단연 폴 마틴 전 캐나다 총리였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마틴 전 총리는 자신이 참가한 세션과 기자회견에서 주요 8개국(G8) 체제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G20의 역할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을 줄기차게 펼쳤다.

사실 마틴 전 총리는 국제사회에서 ‘G20의 창시자’ ‘G20의 서포터’로 불린다. 그는 1999년 캐나다 재무장관 시절 열린 첫 번째 G20 재무장관 회의의 의장을 맡으면서 G20 시스템의 전도사로 나섰다. 2005년 총리 재직 시절에는 G20 회의를 정상회의로 격상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장에서는 G8의 회원국이면서 올해 G8 의장국을 맡은 캐나다의 총리와 재무장관을 지낸 그가 G20 시스템의 전도사로 나선 이유를 궁금해 하는 청중이 적지 않았다. 그는 그 이유를 “G8의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이라고 요약했다.

○ G8 국가의 최고위급 관료가 ‘열혈 G20 지지자’가 된 이유

마틴 전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G8에는 세계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인도 브라질 한국을 포함해 다른 많은 중요한 나라들이 포함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G8은 더는 글로벌 조정위원회로서 기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볼 수 있듯 기후변화, 에너지 등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이 큰 주요 이슈에 대한 조율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캐나다가 G8에 속해 있고 잘사는 나라이기는 하지만 앞으로는 신흥 경제강국들과 다양한 협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G20 체제가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국이 G20 서울정상회의에 맞춰 제안한 의제인 글로벌 금융안전망에 대해 마틴 전 총리는 왜 G20이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한국은 금융위기를 겪으며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이것을 이번 G20 정상회의 의제로 반영할 수 있었다”며 “G8 국가들만의 경험으로는 이런 아이디어를 생각해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서울 회의가 G20제도화의 분기점

마틴 전 총리처럼 G20의 역할 확대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들은 G20을 제도화하는 데 동의한다. G20 정상회의가 세계 주요 현안의 처리 방향을 결정하는 최상위 포럼으로 정착하려면 지속적으로 역할을 확대하는 데서 나아가 조직을 상설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G20의 제도화와 관련해서 등장하는 ‘단골’ 주제는 사무국 창설이다. G20 사무국 창설은 과거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제안한 것이다. 한국 역시 G20의 제도화가 세계 경제에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의장국을 중심으로 사무국을 상시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사르코지 대통령의 주장이다.

사공일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장은 “한국은 6월 토론토에서 열린 제4차 G20 정상회의 직전에 영국과 함께 G20 제도화에 대한 보고서를 돌렸고 제도화와 관련된 세 가지 방법론을 제시했는데 이 중 하나가 사무국 설치였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G20 제도화가 합의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란 전망이 많다. 당장 현재 G20 회원국들 중에서도 상당수가 사무국 설치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완전히 회복되면 G20의 영향력이 다시 줄어들 것이란 회의론도 여전히 만만치 않다.

사공 위원장은 “서울 G20 정상회의가 성공하면 G20의 글로벌조정위원회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G20대학생 리포터 김영준 인하대 국제통상학부 3학년




▲동영상=G20 서울 국제심포지엄, 세션2 : 금융위기, 금융개혁과 G20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