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어제 단일화를 선언했다. 이날 새벽 2시간 반 동안 회동한 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단일화”라며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시작으로서의 정권교체, 즉 ‘더 좋은 정권교체’를 위해 뜻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윤 후보 지지 선언과 함께 사퇴했다. 대선 직후 합당도 추진된다.
이번 단일화는 4, 5일 이틀간 진행되는 사전투표를 하루 앞두고 성사됐다. 본투표는 6일 남긴 시점이다. 새 여론조사 공표도 금지된다. 한마디로 ‘깜깜이 기간’이 시작되는 시점에 단일화가 이뤄지면서 대선 판도는 더욱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두 후보는 “완벽한 정권교체가 실현될 것임을 추호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했다. 이재명 후보는 “정치는 정치인들이 하는 것 같지만 국민이 하는 것”이라며 “역사와 국민을 믿는다”고 했다.
단일화가 대선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지켜볼 일이다. 선거 유불리에 따른 이해타산과 정치공학 차원인지, 국가 미래를 위한 ‘가치 연대’ 차원인지에 따라 유권자들 판단도 달라질 것이다. 다만 전날까지도 단일화 결렬 책임을 놓고 거친 공방을 벌이다 초읽기에 몰린 상황에 이르러서야 전격 담판 형식으로 합의를 이뤄낸 과정이 과연 적절했는지는 의문이다. 안 후보 스스로 “단일화 시한 종료” “완주” 등을 외쳐왔기에 유권자들도 다소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다.
사전투표 용지는 현장에서 인쇄되기 때문에 ‘사퇴’ 표시가 가능하지만 본투표 용지는 인쇄를 마쳤기 때문에 사퇴를 알리는 안내문만 부착된다. 그 정도로 역대 가장 늦은 시점에 이뤄졌다. 단일화는 대선 때마다 선거일 직전까지도 큰 변수로 작용했던 단골 이슈다. 이런 혼란을 막을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대통령 결선투표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1차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에서 최종 승자를 가리면 제3지대 후보들도 단일화 및 사표(死票) 논란에 시달리지 않은 채 자신의 정책 비전을 제시할 수 있고, 최종 승자의 국정 동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선 때마다 결선투표제 도입 주장이 나오다가 선거가 끝나면 흐지부지됐다. 여당은 이미 결선투표제 도입을 당론으로 정했고, 안 후보도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민의힘도 당론을 속히 정하길 바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