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 밀어주는 사람이여, 온종일 팔 움직이느라 노고가 많으시네.
살살 하게, 살살. 거사는 원래 때가 없다네.
水垢何曾相受. 細看兩俱無有. 수구하증상수. 세간량구무유.
寄語揩背人, 盡日勞君揮肘. 기어개배인, 진일로군휘주
輕手, 輕手. 居士本來無垢. 경수, 경수. 거사본래무구.
―‘여몽령(如夢令)’ 소식(蘇軾·1037~1101)
정치적 갈등을 겪으며 오랜 기간 유배와 좌천의 길을 걸었던 동파는 자신에게 가해지는 정적(政敵)의 압박이 과도하다 싶었던지 자신의 결백을 익살스레 비유한다. 작품의 서문에서 시인이 어느 사찰에 마련된 공중 욕탕에서 목욕하던 중 느낀 바가 있어 장난삼아 써본다고 했듯이 예사로운 일상사에서 오묘한 삶의 이치를 이끌어내는 그의 재주는 남달랐다. ‘거사는 원래 때가 없다’는 표현도 불교의 게송(偈頌)에서 유래한 말인데 목욕탕이 사찰에 딸려 있는 공간임을 재치 있게 활용한 예가 되겠다.
‘여몽령’은 송대의 대표적 운문 장르인 사(詞)의 곡조 이름으로 자구(字句)의 수, 운율 혹은 분위기 등을 나타낼 뿐 시제나 내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그래서 ‘여몽령’이란 곡조를 사용한 작품은 이외에도 무수히 많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서울시청 직원 게시판에 “김어준 퇴출해야” 글 잇달아
박영선 고배 들이켜게 한 여권 인사 5인
진중권 “선동가 된 서민, 우리사이 끝”→ 서민 “죄송, 정권 바뀔 때까지는”
[단독]오세훈의 서울시 “공시가격 재조사하겠다”
대일고·고려대 동문, 야권 ‘대선 승리’ 디딤돌 놓았다
진중권 서민 비난에…주옥순 “당신은 반성할 것 없나? 겸손 하라”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