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데가르드 노튼 아일랜드 아동청소년부 차관이 전쟁기념관 6·25전쟁 아일랜드 참전 추모비에 헌화고 있다.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이 힐데가르드 노튼 아일랜드 아동청소년부 차관과 기념 촬영 하고 있다.힐데가르트 노튼(Hildegarde Naughton) 아일랜드 아동청소년부 차관이 20일 오후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 이하 사업회)를 방문했다.
백승주 회장은 노튼 차관을 환영하며 “사업회는 6·25전쟁에 참전한 아일랜드 출신 군인들의 헌신을 기리고, 미래세대에게 국가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노튼 차관은 백 회장이 지난 23년 전쟁기념관에서 아일랜드 매체와 진행한 인터뷰를 언급하며, “6·25전쟁 아일랜드 참전용사의 활약상과 감사를 표하는 인터뷰에 크게 감명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양국 간의 역사 공유를 통해 강한 유대감을 느꼈으며, 한-아일랜드 간 긴밀한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싶다”고 밝혔다.
함께 자리한 미쉘 윈트럽(Michelle Winthrop) 주한아일랜드대사는 “한 나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역사를 반드시 알아야 하며, 그런 점에서 전쟁기념관은 외국귀빈들의 필수 방문 코스”라며 “전쟁기념관은 미래 세대가 전쟁의 참상을 기억하고 평화와 자유의 가치를 배우는 소중한 장소”라고 강조했다
환담 후 노튼 차관은 아일랜드 참전추모비에 헌화하며 6‧25전쟁 아일랜드 전사자를 추모하고, 평화의광장을 둘러 봤다.
아일랜드는 6.25전쟁에 정식으로 참전한 국가는 아니지만, 1천여 명이 넘는 아일랜드 출신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영국군, 미군, 호주군 소속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다. 정확한 참전 규모 및 전사자 수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영국군 소속 130명, 미군 소속 29명, 호주군 소속 2명 등 최소 160여 명이 6·25전쟁 중 전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