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문연구원은 2일 새벽 3시경 ‘C/2022 E3 ZTF 혜성’(Zwicky Transient Facility 혜성, ZTF 혜성)이 지구로부터 약 4250만km(0.28AU) 떨어진 지점을 지나간다고 1일 밝혔다. 근지점을 지나갈 때에는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통해서 관측할 수 있다.
근지점에서의 예상 밝기는 5등급이다. 새벽 중에 북극성 서쪽 기린자리 부근에서 고도 약40도 정도의 혜성을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조건이 좋으면 광해가 적은 곳에서는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 6등급은 맨눈으로 관측 가능한 최저 등급이다.
ZTF 혜성은 지난해 3월 미국 샌디에이고 팔로마 천문대의 광시야 천문 탐사 장비 츠비키 망원경(ZTF)을 통해 발견됐다. 장주기 혜성으로 주기는 5만년으로 추정된다. 지난 1월 12일 태양 가장 가까운 곳(근일점)을 지나갔다.
태양계 밖으로 향하는 이 혜성이 다시 지구로 오는 것은 수백만년 뒤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볼 수 없는 셈이다.
김명진 천문연 김명진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은 “혜성은 주로 얼음과 먼지로 구성돼 있는데 ZTF 혜성은 태양계 끝의 오르트구름에서 왔다”며 “혜성 핵 주위의 가스층인 코마에 탄소 이원자 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돼 녹색 빛을 띤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