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A/잠금해제2020]“대화·대안활동 필요” 게임중독 막는 법

  • 채널A
  • 입력 2012년 1월 21일 19시 10분


코멘트
0
[앵커멘트]
설 연휴 동안
부모의 통제가 소홀한 틈을 타
자녀들이 컴퓨터나 게임기
앞에만 앉아있는 걸 흔히 볼 수 있는데요.
부모님들, 다음 보도를 보시고
설 연휴 동안 어떻게 아이들이

게임에 몰두하는 걸 막을 수 있을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김기용 기잡니다.

[채널A 영상] 잠금해제2020 /“대화·대안활동 필요” 게임중독 막는 법

===============================================

청소년들은 이번 설 연휴를
어떻게 보낼까요.

게임 많이 하죠. 집에서 TV봐요. 친구랑 영화 봐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생 20%, 중·고등학생 25%가
휴일에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친구와 놀기, TV시청, 운동 등은
뒤를 이었습니다.

[스탠드업 : 김기용 기자]
초·중·고등학교에서

게임 중독이 의심되는 학생이
최대 8만 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학교 폭력도 상당수가
게임 중독과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부모들의 걱정은 더 커져만 갑니다.

컴퓨터는 통제, 감시 가능한 공간에 둬야

컴퓨터가 자녀들의 방에 있다면
거실로 옮기도록 합니다.
청소년들은 자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부모도 게임에 대해 알아야

[인터뷰 : 엄나래 한국정보화진흥원 책임연구원]
“부모님들이 보통 아이들이 게임을 하면 몇 시까지 해라, 이제 꺼라 그런 부분만 말씀을 하시거든요. 그런데 오늘은 무슨 게임을 했는지, 너의 캐릭터는 지금 레벨이 어느 정도 되고 있는지, 아이템 사기를 당하지는 않았는지, 그리고 그 게임상에서 만나는 다양한 친구들과 문제는 없는지, 위협은 없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편안하게 대화해 주는 게 필요합니다.”

[인터뷰 : 이은정 / 서울시 양평동]
“어떤 게임을 하는 지 관심은 별로 없었고 사실은 시간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거든요. 같이 게임할 때 엄마가 지켜볼 필요가 있고 대화를 나눌 필요가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대안 활동 모색해야

게임을 대신할
적절한 취미 활동을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인터뷰 : 엄나래 연구원]
“게임 이외에 다른 곳에서 즐거움을 찾고 활기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운동이나 아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취미 등입니다.

채널A 뉴스 김기용입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