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상하이서 수천명 거리로”
베이징-칭화大 등 전국 대학 번져

27일 블룸버그 등 서방 언론들과 쯔유(自由)시보 등 대만 언론들에 따르면 26일 밤∼27일 새벽 상하이 우루무치중루(中路)에서 시민 수백 명이 중국 서부 신장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 아파트에서 24일 발생한 화재 사고로 10명이 숨진 데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아파트에 봉쇄 강화를 위해 가져다 놓은 여러 설치물 때문에 진화가 늦어져 사망자가 늘어났다는 주장이 소셜미디어에서 급속히 확산되던 상황이었다. 트위터에 공개된 동영상에서 시위 참가자들은 거리에 촛불을 놓고 모여 “독재는 안 된다” “민주주의를 (시행)하라” 등을 외쳤다.
27일 오후에도 상하이 곳곳에서 항의 시위가 이어졌다. BBC는 “상하이에서 수천 명의 시위대가 (거리에) 나왔다”고 전했다.
中 청두 시위대 “종신 황제 필요없어”… 50개 대학 “자유 원한다”
코로나봉쇄 반발 확산
상하이-우한 등 中전역으로 번져
시진핑 모교 칭화대서도 집회
“톈안먼 이후 최대 반정부 시위”

트위터에 올라온 영상에 따르면 27일 오후에도 상하이 곳곳과 청두 우한 등 대도시들에서 시민들이 항의 시위를 벌였다. 이날 오후 트위터에는 청두 시민들이 시 주석의 장기 집권을 겨냥해 “종신(집권)제는 안 된다. 황제는 필요 없다”고 구호를 외치고 박수 치는 영상이 올라왔다. 상하이 등에서 현지 공안(경찰)들이 시위대를 진압하는 장면도 있었다.
앞서 26일 밤∼27일 새벽에 상하이 시위 참가자들은 “자유와 인권을 원한다”고 외쳤다. 로이터는 참가자들이 “중국의 모든 코로나19 봉쇄 해제”를 외쳤다”고 보도했다. 공안들은 최루탄을 쏘며 시위대를 해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에 참여한 한 시민은 AP통신에 “친구 한 명은 공안에게 두들겨 맞고 두 명은 최루탄을 마셨다”고 전했다.
대만 쯔유시보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지금까지 벌어진 시위 가운데 가장 반(反)정부적이고 급진적”이라고 했다. 블룸버그는 “1989년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이후 (규모가) 가장 큰 반정부 거리 시위”라고 평가했다.
베이징의 칭화대 학생 수백 명은 27일 교내에 모여 코로나19 봉쇄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면서 당국의 검열에 항의하는 의미로 백지를 들었다. AFP통신은 “학생들이 민주주의와 법치, 표현의 자유 등을 외쳤다”고 전했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한때 ‘백지 운동’ 해시태그가 등장했다가 삭제됐다. 전날 베이징대 구내식당 벽에는 “자유를 원한다. 눈을 크게 뜨고 세계를 보라”는 대자보가 붙었다.
27일 웨이보 등에 올라온 글에 따르면 베이징 도심인 차오양구 일부 아파트에서 주민들이 단지 봉쇄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며 “우리 건물에서 (우루무치 화재 같은 일이) 발생하면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주장했다. 웨이보에서는 시설 격리 대신 자가 격리를 허용해 달라는 온라인 서명운동까지 이례적으로 벌어졌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