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주도 AI, 추격조 만들고 파격 지원을”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2월 7일 03시 00분


[딥시크 차단 전방위 확산]
정책 컨트롤타워 부재 위기감 고조
“해외 한인 인재 데려올 지원도 필요”

압도적 투자로 인공지능(AI) 굴기를 보여준 중국의 ‘딥시크 쇼크’에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거세지며 한국 AI 업계의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탄핵 국면으로 AI 정책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가운데 정부가 업계 의견 수렴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AI위원회,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6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개최한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 진단 민관 간담회에서 김두현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오픈AI나 딥시크급으로 AI 기술을 끌어올릴 수 있는 국가대표 추격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산하에 특수 임무 조직을 두고 제도에 묶이지 않고 파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학습 데이터와 인재를 확보하려면 기존 룰을 깨는 파격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들도 제시됐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올해 말까지 우리나라에서 10개 이상의 딥시크 같은 회사를 만들려면 추격조로 선정된 회사에 ‘한 3년 정도 국내 데이터를 모두 갖다 쓰라, 저작권은 나중에 계산하라’는 아주 파격적인 제안을 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오픈AI 등 해외 빅테크를 이끄는 한국 출신 리더들을 파격적인 대우로 데려와야 하는데 20억 원에 달하는 연봉 차이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해줘야 한다”고 인재 확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중국 ‘딥시크’의 추론 모델 ‘R1’과 비슷한 모델을 준비 중인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조만간 딥시크 R1 수준의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오픈AI의 최신 모델인 o3 미니와 같은 수준을 만들려면 엔비디아 H200 2000장가량, 금액으로는 1000억 원 정도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조 단위 투자를 하면서 여러 곳에 나눠 먹기식으로 하기보단 우선 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인공지능(AI) 굴기#딥시크 쇼크#AI 패권 경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