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상장 변수로 떠오른 ‘ESS 화재’… LG에너지솔루션, 추가 충당금 비용 4000억 이상 발생

  • 동아경제
  • 입력 2021년 5월 21일 09시 31분


추가 충당금 규모 4000억~8000억 원 수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웃도는 규모
실적 타격·상장 일정 영향 불가피
ESS 이어 전기차 배터리 리콜 이슈 주목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LG에너지솔루션이 뜻밖의 난관에 부딪혔다. 상장을 앞두고 지난 2017년부터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관련 대규모 충당금을 추가로 반영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 충당금 규모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상장 전 기업 가치를 극대화해야 하는 LG에너지솔루션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충당금 규모를 감안하면 올해 8~10월로 알려진 IPO 일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21일 LG 관계자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LGES)은 4000억~8000억 원 규모 ESS 화재 관련 충당금을 반영할 예정이다. 충당금은 올해 1분기에 흑자 전환한 영업이익(3412억 원)을 웃도는 규모다.

이번 충당금 반영은 일종의 상장 준비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지정감사인으로 한영회계법인이 선정된 이후 지난 재무·회계 관리 상태를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추가 충당금 반영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최종 비용 반영 규모와 시기는 현재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정감사인과 LGES가 이번에 추가로 ESS 관련 충당금 설정을 추진하는 이유는 상장 후 부정회계 이슈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다. 다만 이번 충당금에는 제너럴모터스(GM)에 공급한 전기차 배터리 관련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ESS 관련 화재가 여전히 진행 중인 사안이고 전기차 배터리 관련 비용 등 지속적으로 충당금 이슈가 제기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 배터리 충당금 이슈는 현재진행형… ESS 이어 전기차 배터리까지

ESS는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 등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 시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 핵심 장치로 꼽힌다. 가정용 건전지와 원리가 비슷하지만 수백 킬로와트시(kWh) 이상 대규모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으로 이해하면 된다.

LGES(당시 LG화학)의 ESS 이슈는 지난 2017년에 시작됐다. 당시 전국에서 발생한 ESS 화재 사고 23건에 대해 ESS 화재 조사위가 꾸려져 관련 조사에 들어갔다. 조사위는 배터리 보호시스템과 운영관리 등을 화재 원인으로 발표하고 배터리 충전량을 제한하는 등 ESS 화재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하지만 추가 화재(5건, LGES·삼성SDI)가 발생하면서 2차 조사위가 다시 조사에 들어갔고 화재 원인을 LGES와 삼성SDI의 배터리 문제로 결론지었다. 조사위 발표에 대해 당시 LGES는 배터리 자발적 교체를 진행하지만 조사위 발표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LGES는 국내 ESS 사업을 줄였고 현재 ESS 사업 매출 대부분은 해외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해 기준 LGES ESS 매출은 약 8000억 원, 영업이익은 600억 원 수준이다.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약 2500억 원이다.

조사위 발표에도 불구하고 ESS 화재 이슈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평가다. 정부와 기업이 입장차를 보이면서 명확한 최종 결론에는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지난 4월 충청남도 홍성군 소재 태양광 ESS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ESS에 이어 화재 이슈는 전기차 배터리로 옮아붙은 모습이다. 현대자동차 코나EV 화재와 GM 쉐보레 볼트EV 배터리 이슈가 대표적이다. 코나EV 화재와 관련해서는 충당금을 설정하고 마무리 수순에 들어갔지만 볼트EV 배터리 리콜(6만9000대 규모) 이슈는 아직 최종 결론이 나지 않았다. 지속된 화재와 관련해 세부 원인에 대한 이해당사자간 입장은 다르지만 LGES 배터리가 꾸준히 화재 이슈의 중심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LGES가 배터리 사업과 관련해 글로벌 2위 규모로 외형 확장을 꾀하고 있지만 화재가 품질 이슈로 이어질 수 있기에 사업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제품 안전성 제고가 선행돼야 한다고 평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충당금 설정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ESS 이슈와 관련해 지난해 2차 조사위 발표에 대한 입장 이후 다른 공식 입장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배터리 충당금에 대해서는 “전기차 배터리 리콜의 경우 미리 반영한 충당금 범위 내에서 해결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배터리 셀 교체 등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충당금을 다시 검토해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