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然旭기자] 한보철강의 부도사태와 관련, 여야 정치권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23일 한보에 대한 특혜금융의 경위와 권력의 배후개입의혹을 강력히 제기, 정치쟁점화를 시도했으나 신한국당은 정치권 연루설을 일축했다.
국민회의 鄭東泳(정동영)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내고 『철강업에 경험도 없는 한보에 은행들이 5조원의 천문학적 뒷돈을 댄 것은 명백한 특혜』라며 『정부는 한보에 특혜를 주도록 「보이지 않는 손」으로 영향력을 행사한 배후를 규명하라』고 촉구했다.
柳鍾珌(유종필)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자기자본이 9백억원인 한보철강에 4조원의 은행빚을 대주고 그것도 부족해 4천억원의 구제금융을 준다는 것은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라고 따졌다.
자민련 安澤秀(안택수)대변인도 『대통령은 주먹구구식 사업계획으로 엄청난 규모의 당진제철소를 건설토록 한 정부의 허가과정과 금융기관에 대한 지원입김여부 지원중단배경 등에 대해 사정차원에서 엄정하게 조사하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야권의 공세에 신한국당은 『현 정권의 개입설은 증권가 루머수준에 불과하다』고 반박하고 있다.
李洪九(이홍구)대표는 이날 오후 대전의 한 음식점에서 가진 대전충남지역 상공인초청 간담회에서 한보철강 부도문제와 관련, 『엄청난 규모의 대사업이 좌초될 상황에 놓여있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내용과 규모로 봐서 방치해서는 안될 상황으로 당정이 합심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李康斗(이강두)제2정책조정위원장은 『한보철강의 부도사태가 경제에 미칠 파장이 크기 때문에 일단 진행중인 정부의 대응책과 사태추이를 지켜보면서 당차원의 대응을 조심스럽게 검토할 생각』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