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전 강산 뒤흔든 만세소리, 한민족의 새로운 출발 알린 외침”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2019 3·1운동 100년, 2020 동아일보 100년]백년 만의 귀환: 3·1운동의 기록
국사편찬위-본보 27일 3·1운동 100주년 학술회의
본보 옛사옥서 역사적 의미 재조명

27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에서 역사학자들이 종합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윤해동 한양대 교수, 이정은 대한민국역사문화원 원장, 이송순 고려대 교수, 염복규 서울시립대 교수, 정병욱
 고려대 교수, 류준범 국사편찬위 실장, 박찬승 한양대 교수, 전성현 동아대 교수, 허수 서울대 교수, 조건 고려대 교수, 김상규
 고려대 한국사연구소 연구원, 이양희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 연구원, 김명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27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에서 역사학자들이 종합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윤해동 한양대 교수, 이정은 대한민국역사문화원 원장, 이송순 고려대 교수, 염복규 서울시립대 교수, 정병욱 고려대 교수, 류준범 국사편찬위 실장, 박찬승 한양대 교수, 전성현 동아대 교수, 허수 서울대 교수, 조건 고려대 교수, 김상규 고려대 한국사연구소 연구원, 이양희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 연구원, 김명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100년 전 우리 민족은 모든 것이 얼어붙은 겨울 상태나 마찬가지였습니다. 1919년 3월 온 강산을 뒤흔드는 만세 소리는 식민지로부터 벗어나겠다는 우리 민족의 강렬한 열망이자 희망의 외침이었습니다. 우리 힘으로 주권을 되찾아야 한다는, 국민이 주인 돼야 한다는, 민주공화국을 세워야 한다는 굳은 의지로 이어졌습니다.”

완연해지는 봄기운을 느낄 수 있었던 27일. 조광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일민미술관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백년 만의 귀환: 3·1운동 시위의 기록’ 개회사에서 3·1운동을 한민족이 되찾은 봄에 빗대어 설명했다.

○ 과거가 아닌 현재와 미래의 ‘3·1운동’

조 위원장은 3·1운동이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식민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민족적 각성’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조위원장은 “3·1운동 이후 많은 애국지사들이 국내외에서 목숨을 걸고, 일제에 맞선 역사를 우리는 언제나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1운동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잇는 디딤돌이라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인사말에서 “자유와 평화, 인권이라는 지금도 우리가 실현해야 할 가치를 100년 전 3·1운동으로 우리 사회에 촉발시켰다”며 “이제 우리가 지나온 100년을 잘 돌아보면서 앞으로 100년은 (이 가치들을) 어떻게 확산시키고, 우리 사회가 어떻게 성장·발전시킬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은 “정확히 100년 전인 1919년 2월 27일은 거사를 이틀 앞둔 숨 가쁘던 시간이었다”며 “서울 중앙고등학교 교정에는 3·1운동 책원비가 세워져 있는데, 100년 전 오늘 당시 중앙학교 숙직실에서 청년들이 3·1운동을 계획하고 준비했다. 그런 점에서 오늘의 학술대회 행사가 굉장히 뜻깊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회의는 국사편찬위원회(국편)가 최근 구축한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국편DB)를 활용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였다. 국편DB는 일제 사료인 ‘경성지법검사국문서’ ‘3·1운동 관련 판결문’ 등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한일관계사료집’, 외국인 선교사 보고 등 3·1운동 관련 1차 사료 8915건 가운데 관련 정보 2만1407건을 추출해 정리했다. 특히 전국적인 3·1운동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시켜 일제강점기와 오늘날 지도 위에 구현해 누구나 쉽게 3·1운동의 양상을 각종 인포그래픽으로 볼 수 있다. 정병욱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는 “해외에서 열린 3·1운동도 집계했고, 새롭게 발굴된 각종 판결문 등을 분석한 결과 3·1운동의 전체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3·1운동의 결과물인 동아일보

이날 학술회의가 열린 일민미술관은 1919년 3·1운동의 열망으로 이듬해 창간한 동아일보가 사옥으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회의장 입구에는 3·1운동 민족대표 48인의 얼굴 사진과 공판 예고 기사를 파격적으로 편집한 1920년 7월 12일자 동아일보 신문이 걸렸다.

김재호 동아일보 사장은 환영사에서 “동아일보의 뿌리는 바로 3·1운동”이라며 “3·1운동의 주역들이 동아일보를 설립하고 편집국과 지국망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동아일보는 1926년 3월 5일자에 소련 국제농민회 본부가 조선 농민에게 보내온 3·1운동 7주년 축전을 번역해 실었다는 이유로 조선총독부로터 무기정간을 당했다”며 “‘자유를 위하여 죽은 이에게 영원한 영광이 있을지어다’라는 축전의 내용은 동아일보가 일제 압제에 시달리는 우리 민족에게 꼭 전하고 싶던 말이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내년 100주년을 맞이하는 동아일보는 민족을 위해 온몸을 바친 3·1운동 정신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해동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는 “3·1운동 연구의 획기적인 성과가 1969년 동아일보의 기념사업 결과로 발간된 50주년 기념 논문집이고, 바로 3·1운동 연구의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동아일보의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은 워낙 쟁쟁한 국내외 학자들이 대거 참여해 당시 이 논문집에 필자로 끼지 못한 사람은 지성인으로 대접받지 못할 정도였다”며 “동아일보는 또한 1960년대부터 국사편찬위원회와 함께 3·1운동 유적 보존과 기념비 건립 사업을 펼쳐 왔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그런 의미에서 동아일보는 3·1운동에 지분을 갖고 있는 언론사”라며 “3·1운동 100주년 학술대회를 공동 주최하게 돼 뜻깊다”고 밝혔다.

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