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훈의 책·사람·세상]朱子의 독서법

  • 입력 2000년 9월 1일 18시 59분


책 세계의 안과 바깥, 예와 지금, 전경과 배경….

무궁무진한 책 세상, 그 속에 담긴 인간세상에 빠져 보자. 대학시절 자신을 키워준 것은 8할이 도서관이었다는 철학도 표정훈씨(31)의 ‘책·사람·세상’이 그곳으로 안내한다.

잡식성의 독성(讀性)을 지닌 그는 지금 번역과 고전학 공부에

열심이다. <편집자>

책읽기의 챔피언을 꼽는다면, 아무래도 서양에서는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를, 동아시아에서는 대유학자 주자를 꼽고 싶다. 동서의 두 챔피언 모두 저술 활동에서도 가히 챔피언 급이다. 다른 점들 가운데 하나를 든다면, 주자는 읽기와 쓰기뿐만 아니라 만들기, 그러니까 책의 제작에도 관여했다는 점이다.

◇경건한 '종교의례'로 여겨◇

주자는 생계 유지를 위해 인쇄업에 종사하기도 했다(그가 맡은 관직은 사실상 명예 봉사직에 가까운 것이 대부분이었다). 주위 사람들은 그가 인쇄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품위를 손상시킨다며 만류했지만, 그 자신은 그리 심하게 부끄러운 일로 생각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독서, 저술, 인쇄 출판에 이르기까지 책에 관한 한 모든 가능한 경험을 심도 있게 거친 보기 드문 경우인데, 때문에 독서에 대한 그의 견해는 각별하다. 그리고 그 견해란 독서를 사실상 ‘종교적 의례에 해당하는 일’로 간주하는 것이었다. ‘주자어류’의 ‘독서법’ 부분을 보면 독서 행위의 진정성, 엄격성을 이다지도 강조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기다림은 만남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는 말이 있는데, 독서에서도 이 말은 유효하다. 독서가 반드시 어떤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물론 입시 공부, 각종 고시, 자기 계발 등 특정 목적을 염두에 둔 독서도 많지만 역시 무목적의 독서야말로 ‘독서의 꽃’이라 하겠다.

그런데 무목적의 독서는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대두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자 생활을 누리는 사람의 절대 숫자 자체가 적고 책 자체가 무척 구하기 힘든 귀중품이었던 시대에는, 책의 위상이 현재와는 사뭇 달랐다. 더구나 세속화로 특징 지워지기도 하는 근대 이전의 여러 문화권에는 나름의 성전(聖典)이 있었고, 출판 및 독서 활동의 상당 부분은 그러한 성전 및 성전 주해서의 출판과 독서가 점하고 있었다. 기독교 문화권의 성경, 동아시아 문화권의 불경과 유경(儒經), 이슬람 문화권의 코란 등.

그러한 성전이 단순한 책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것은 당연했고, 그것을 읽는 행위 자체가 사실상 종교적 의례에 해당하는 중요성을 지니기도 했다. 기독교인들의 성경에 대한 태도야 두말할 나위 없고, 조선의 선비들이 유경에 대해 지녔던 태도도 그에 못지 않다. 오히려 초월적 절대자에 대한 신앙이 없었던 유교에서, 옛 성현의 가르침이 온전히 담겨져 있다고 믿은 유경에 대한 의지와 신뢰가 더욱 강했다고 볼 수도 있다. 유교를 ‘책의 종교’라고 말하는 경우마저 없지 않으니 말이다.

◇쉽게 읽는 현대인에 교훈◇

최근의 독서 환경은 무척 다양해지고 있다. 전자책까지 확산일로에 있으니, 독서 행위의 의미 자체가 변화할 조짐도 없지 않다. 오늘날의 입장에서 보면 주자의 독서법은 낡아도 한 참 낡은 것이다. 그럼에도 주자의 책 및 독서에 대한 태도는 갈수록 부박해져만 가는 최근의 출판 및 독서 활동에 대한 의미심장한 우려의 목소리로 재해석 될 여지를 지닌다. 그의 한 마디. ‘독서를 하다가 여러 가지 의문이 함께 일어날 때는, 잠자고 밥 먹는 것조차 잊을 정도로 몰두할 수 있어야 큰 진전이 있다. 마치 전쟁에서 한 번 정도 대대적인 살상이 있어야 크게 이길 수 있는 것과 같다.’

(출판 칼럼니스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