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하얼빈 겨울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9개 金 중 ‘최소 6개’
스피드 김준호-김민선 金 조준
스키선 이승훈-정동현도 유력
대회 첫 주말 금 10개 돌파도 가능
김길리
‘얼음 도시’ 하얼빈에서 열리는 2025 겨울 아시안게임이 7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공식적으로 막을 올렸다. 이번 대회 쇼트트랙에 걸린 9개의 금메달 중 ‘최소 6개’ 금메달을 목표로 잡은 한국 선수단은 이날 김길리-최민정, 박지원-장성우가 개인전 3종목(500, 1000, 1500m)에서 모두 압도적인 격차로 예선 및 준준결선을 통과했다. 혼성 2000m 계주에서도 가뿐하게 결선 진출권을 따냈다.
이에 따라 쇼트트랙 각 종목 결선이 모두 열리는 8, 9일은 한국 선수단의 ‘황금 주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쇼트트랙이 분위기만 잘 이끌면 한국 선수단은 대회 첫 주말에 금메달 10개 돌파도 가능하다.
한국 쇼트트랙 선수들은 이날 경기가 열린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빙판을 완전히 접수했다. 대회 전 5관왕 목표를 공언했던 ‘람보르길리’ 김길리가 가장 먼저 시동을 걸었다. 김길리는이날 여자 500, 1000, 1500m는 물론 혼성 2000m 계주를 모두 조 1위로 통과했다. 김길리는 8일 혼성 2000m 계주, 여자 500m, 1500m, 9일 여자 1000m와 여자 3000m 계주에서 모두 금메달을 노린다.
이제껏 겨울 아시안게임에 나선 한국 선수 중 단일 대회에서 금메달 5개를 딴 선수는 없다. 2017 삿포로 대회 때 스피드스케이팅 이승훈이 달성한 4관왕(남자 5000m, 10000m, 매스스타트, 팀추월)이 역대 최고 기록이었다. 김길리는 이날 경기 후 “내일이 진짜다. 좋은 추억과 성적을 거두고 싶다”며 웃었다.
김길리는 지난 시즌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현 월드투어) 시즌 종합 1위에게 주어지는 크리스털글로브를 품에 안았다. 그 전까지 세계 여자 쇼트트랙 최강자 자리는 쉬자너 스휠팅(네덜란드)과 최민정이 양분했다. 하지만 스휠팅은 스피드스케이팅으로 종목을 바꿨고, 최민정은 컨디션 조절을 위해 한 시즌을 쉬었다. 그 사이 김길리가 여자 쇼트트랙 최강자로 우뚝 섰다. 김길리는 이번 시즌 ISU 월드투어 여자부 종합 랭킹 3위로 이번 대회에 참가한 선수 중 가장 높다.
1년 만에 대표팀에 복귀한 ‘원조 여제’ 최민정도 녹슬지 않은 실력을 과시하고 있다. 삿포로 아시안게임과 2018 평창 올림픽 1500m 금메달리스트인 최민정은 이날 열린 여자 500m 예선에서 43초321의 기록으로 골인해 판커신(중국)이 삿포로 대회에서 세웠던 아시안게임 기록(43초371)을 8년 만에 갈아치웠다. 최민정은 올 시즌 ISU 여자 1000m 세계 랭킹 2위로 김길리(5위)를 앞선다.
박지원남자부에서는 지난 시즌까지 2시즌 연속 ISU 남자부 종합 랭킹 1위를 지킨 박지원이 5관왕에 도전한다. 이날 첫 1500m 준준결선을 압도적인 리드로 마친 박지원은 “모든 종목에 자신이 있다. 목표는 전 종목 금메달”이라며 “김길리가 5관왕이 목표라는 건 내일 첫 경기인 혼성계주에서 금메달을 딴다는 얘기니 좋은 소식이다. 동반 5관왕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최민정 역시 “가장 먼저 열리는 혼성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면 다들 남은 경기에서 부담 없이 각자의 목표에 가까워질 것”이라고 했다.
김민선쇼트트랙 외에도 스피드스케이팅에서는 김준호가 남자 100m(8일), 김민선이 여자 500m(9일) 금메달을 정조준한다. 8일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하프파이프에 출전하는 이승훈도 금메달에 가장 근접해 있다. 이승훈은 지난 시즌 국제스키연맹(FIS)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선수로의 사상 처음 월드컵 대회 시상대에 올랐다. 알파인 스키 남자 회전(9일)에서는 아시아 최강자인 정동현의 금메달이 유력하다.
이승훈
정동현컬링 믹스더블에 출전한 김경애-성지훈 조는 7일 준결승에서 홈팀 중국을 꺾고 은메달을 확보했다. 김경애-성지훈 조는 8일 오전 10시 결승에서 일본을 상대로 대회 첫 금메달 사냥에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