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정확도 26% 수준 그쳐

글쓴이가 AI인지 사람인지 알려준다는 ‘AI 감별기(Classifier)’는 번번이 잘 모르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텍스트 생성 AI인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공개한 이 감별기는 사람이 쓴 글과 AI가 쓴 글을 비교하는 학습을 거친 AI다.
챗GPT가 출시된 직후 직장인과 학생들이 챗GPT를 이용해 과제나 숙제를 제출하면서 부작용 논란이 일자 오픈AI가 개발해 내놓은 것이다. 미 NBC방송은 “AI를 잡는 AI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까지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대세다. 챗GPT가 1700자로 요약한 영국 소설 ‘오만과 편견’ 관련 글을 제출했더니 잘 모르겠다는 의미의 ‘불확실’ 판정이 떴다. 영어로 된 텍스트만 판정할 수 있는 것도 약점으로 꼽힌다. 오픈AI는 “자체 테스트 결과 AI가 쓴 글 중 26%가량을 맞혔다. 사람이 쓴 글 중 9%를 AI가 썼다고 판정하기도 했다”며 훈련을 더 거치면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