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730만km 날아 달궤도 안착… 우주탐사 시대 열어

  • 동아일보

코멘트
1

美-러 등 이어 세계7번째 달 탐사
달 유인착륙 후보지 탐색 등 수행
정부 “2032년 달 착륙선이 목표”

한국의 첫 달 궤도선 ‘다누리(KPLO)’가 달 임무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내년부터 과학관측 데이터 수신이나 기술검증 시험을 수행한다. 한국의 첫 우주탐사이자 미국과 러시아, 인도, 중국, 일본 등에 이은 세계 7번째 달 탐사다. 한국이 우주탐사선 운용 노하우 등을 확보해 본격적인 우주탐사 시대를 열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7일 오후 6시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의 최종 성공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다누리 프로젝트를 이끈 김대관 항우연 달탐사사업단 단장은 “우리가 이제 지구 밖 다른 행성으로 나갈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이번 성공으로 심우주 탐사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이 세계 7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한 역사적 순간”이라며 “오랜 시간 다누리호 개발에 매진해 온 연구자분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격려했다.

무게 약 678kg의 다누리는 가로 3.18m, 세로 6.3m, 높이 2.67m의 한국 최초 달 궤도선이다. 8월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된 이후 지구와 달,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탄도형 달 전이 방식(BLT)’으로 달로 향했다. 총 730만여 km의 오랜 항행을 거쳐 145일 만에 달에 닿았다.

현재 다누리는 목표한 달 상공 100km 궤도에서 초속 1.62km 속도로 약 2시간마다 공전 중이다. 내년 1월 말까지 탑재체 성능 확인과 오차, 왜곡을 조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내년 2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임무에 나선다. 다누리에는 국내 연구기관과 대학이 개발한 관측 장비와 우주인터넷 등 국산 탑재체 5종과 미국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제공한 달 극지방 촬영 카메라가 실려 있다. 세계 최초 달 표면 전체 편광지도 제작 외에도 나사의 유인 달탐사 미션 ‘아르테미스’에서 달 유인 착륙에 적합한 후보지를 찾는 임무 등도 맡는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번 성공으로 2032년 달 착륙선을 보내는 것이 현실적인 목표가 됐다”며 “궤적 설계, 항행, 관제, 심우주 통신 기술 등을 확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누리#달 궤도선#우주탐사 시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12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 2022-12-29 09:28:30

    세계 7번째면 대단한 성과다. 그런데 영구 기관 제작은 유래가 없다. 이유는 자석은 같은 극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교육 때문이다. 같은 극이 마주 보도록 고정하고 가운데 회전체 원형 자석을 올리면 답은 나온다. 제작비가 2만원 이내다. 교육이 갈리는 역사적 순간이다.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