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어린 자녀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1월 9일 10시 46분


코멘트
지난달 3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 조기가 게양돼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부터 ‘이태원 참사’ 사고 수습이 일단락될 때까지 국가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모든 정부부처와 관공서에 즉시 조기를 게양할 것을 지시했다. 2022.10.30/뉴스1 ⓒ News1
지난달 3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 조기가 게양돼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부터 ‘이태원 참사’ 사고 수습이 일단락될 때까지 국가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모든 정부부처와 관공서에 즉시 조기를 게양할 것을 지시했다. 2022.10.30/뉴스1 ⓒ News1
“아이가 학원 가는 길에 조기(弔旗)가 게양된 걸 보고 이유가 뭐냐고 물어보는데, 어떻게 말해줘야 좋을까요?”

경기 고양시에서 7살 딸을 키우는 김모 씨(37)는 얼마 전 아이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구에서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관련 질문을 해 당황했다. 김 씨는 “어디까지 설명을 해 줘야 할지 몰라서 난감했다”고 전했다.

김 씨처럼 유치원에 재학 중이거나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아이에게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민이 많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김은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아동청소년위원장,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 정운선 경북대 소아청소년정신의학과 교수 등 심리 및 트라우마 전문가 4명의 도움을 받아 아이에게 이태원 참사를 설명하는 방법과 트라우마 증상이 나타날 때 대처법 등을 정리해 봤다.

● 감정 싣지말고 있는 그대로 말해 주세요
자녀가 이태원 참사에 대해 물어본다면 있는 그대로 얘기하는 게 좋다. 감정을 실어서 얘기하거나 비난하는 것은 안 된다. 김 위원장은 “‘어른들이 핼러윈 데이라는 축제를 즐기려고 이태원에 모였는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있어서 넘어지기도 해서 뜻하지 않게 큰 참사가 났어. 그래서 사람들이 하늘나라로 갔어. 이런 얘기를 들으니까 마음이 아프고 무섭지. 엄마도 그래’라는 식으로 얘기를 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태원 참사가 슬픈 일이지만 어른들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구체적인 대책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해 주는 게 좋다.

아이에게 죽음을 설명해야 할 지 고민하는 학부모들이 많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억지로 죽음에 대해 이해시키려 하거나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은 좋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임 교수는 “‘이별했다, 여행을 떠났다’는 식으로 설명해 주는 게 좋다”고 말했다. 곽 교수는 “‘사람은 죽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식으로 죽음을 설명하면 아이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아이가 물어보지 않는 부분까지 설명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다.

만약 자녀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이태원 참사 당시 사진이나 영상을 본 것 같다면 혼을 내거나 당황해선 안 된다. 아이의 말을 들어보고 참사에 대해 있는 그대로 설명해 주는 게 중요하다. 정 교수는 “사진이나 영상을 본 뒤 머리 속에 계속 남아서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도 생각이 날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힘들고 괴로운 영상은 보지 않는 게 도움이 된다는 설명을 아이에게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찾은 시민이 헌화하고 있다. 2022.11.2/뉴스1 ⓒ News1
지난 2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찾은 시민이 헌화하고 있다. 2022.11.2/뉴스1 ⓒ News1
● 배변 못 하거나 악몽 꾸면 트라우마 우려
자녀에게 이태원 참사에 대해 설명할 때는 자녀가 그 설명으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김 위원장은 “기질에 따라 불안이 높은 아이가 참사 정보에 노출되면 죽음에 대한 공포나 강박, 분리불안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부모 등 어른이 참여한 상태에서 친구들과 함께 토론하고 의견을 나누는 것도 참사를 설명하는 올바른 방식”이라며 “안전 대책을 세워 보고, 친구들이 참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의견을 나눠보면 힘든 감정들도 서로 나눌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겪는 어린이들도 있을 수 있다. 만약 자녀가 이태원 참사를 알게 된 뒤 배변을 잘 하지 못하거나, 악몽을 꾸거나,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는 등 일상 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트라우마 증상일 수 있다. 배나 머리가 아프다고 하거나,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거나 항상 짜증과 화가 나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자녀가 트라우마 증상을 보인다면 왜 그런지, 어떤 점 때문에 힘든지 충분히 들어주는 게 좋다. 김 위원장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이제 겨우 열흘 정도가 지났을 뿐”이라며 “아이가 힘들어하면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원래의 규칙적인 생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족이 함께 즐거운 활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자기 전에 아이와 함께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한다든지 우유를 마신다든지 불안이나 공포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어른이 계속 옆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만약 일상생활이 지속적으로 어렵다면 전문가 도움을 받아야 한다. 곽 교수는 “아동 트라우마는 지금 당장 안 보여도 나중에 나타날 수 있다”며 “지속적, 장기적으로 관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유라기자 jyr010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