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절반이 밀집한 수도권의 확산세는 특히 우려스럽다. 정부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 두기를 지난달 19일 1.5단계, 24일 2단계로 격상한 데 이어 이달 1일부터 사우나 한증막 줌바댄스시설 에어로빅학원 등 고위험시설을 추가 규제하는 ‘2+α’ 조치를 시행했지만 확산세는 꺾이지 않았다. 특히 청장년층 환자가 늘어 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운 감염이 속발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설상가상으로 위·중증 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 부족 소식도 들려온다. 의료계는 중환자 병상이 1, 2주 뒤면 소진될 것으로 내다보는데, 자칫 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해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진 유럽 사례가 남 일이 아니게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원인으로 무원칙한 방역정책을 지목하고 있다. 정부가 만든 기준에 따르면 1주간 지역감염자가 400명을 넘으면 원칙대로 2.5단계로 격상해야 하는데, 2단계+α로 어중간하게 놔둔 게 패착이라는 것이다. 물론 거리 두기를 격상하면 경제에도 심대한 타격을 주게 된다는 점에서 정부 고민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조속히 전파의 고리를 끊어내지 못한다면 국민 피로도가 가중되고 경기 추락은 길어지며, 살릴 수 있는 환자를 잃는 비극을 맞이할 수도 있다. 세계 곳곳에서 백신 소식이 들려오지만 우리나라는 내년 3분기에나 접종이 시작될 것이라고 한다. 머뭇대다가는 정부가 자랑해온 ‘K방역’이 무색해지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천벌 받을 거짓말”…국민의힘이 연 ‘박범계 장외 국민청문회’
[박제균 칼럼]대통령에게도 겨울이 오고 있다
조수진 “‘유시민 근거있다’던 홍익표 어떤 태도 보일지”
교수단체 “부산대, 왜 조국 딸 ‘입학 취소’ 규정 안 따르나”
‘이용구 폭행 영상 묵살’ 경찰관 대기발령…진상조사 착수
이용구, ‘택시기사 폭행’ 당일 백운규 자택서 부부와 술자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