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능하다는 안도감[내가 만난 名문장]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0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인아영 문학평론가
인아영 문학평론가
상실이 주는 안도감이 기요아키를 위로했다. 그의 마음은 언제나 그런 식으로 움직였다. 잃어버리리라는 공포보다도 실제로 잃어버렸음을 아는 편이 훨씬 견디기 쉬웠기 때문이다. ―미시마 유키오, ‘봄눈’ 중

얼마 전 초역된 미시마 유키오의 마지막 소설 ‘풍요의 바다’ 1권 ‘봄눈’에 나오는 구절이다. 다이쇼 시대가 시작된 일본의 1912년, 천황의 권역에서 막대한 부와 권력을 누리는 귀족사회의 한복판에 젊고 아름다운 두 남녀 기요아키와 사토코가 있다. 오로지 감정만을 위해서 살아가겠다는 열아홉의 미소년 기요아키는 사토코를 갈망하면서도 완벽한 형식에 집착하며 그 사실을 인정하지 못한다. 거짓으로 가득한 편지를 보내고, 마음을 숨기고 뒤집고 꼬아서,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없도록 만든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기요아키가 사토코를 향한 마음을 인정하게 되는 계기는 두 사람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게 되었을 때다. 천황이 사토코와 황족의 결혼에 대한 칙허를 내리고 사랑이 금기이자 위반이 되자, 기요아키는 그제야 진실을 증명하려는 듯 사토코와의 깊은 관계에 얽혀 들어가고 돌이킬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닫는다. 기요아키는 완벽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신의 의지로 사랑을 일구려 움직이지만, 마쓰가에 후작 집안과 아야쿠라 백작 집안이 천황과 얽혀 있는 긴 역사 안에서 그 의지는 그저 무상한 것이다.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을 때 안도하는 마음이란 실패에 대한 방어기제이자 연약한 자기보호 본능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자각이 비로소 의지를 추동하기도 하고, 그렇게 추동된 의지가 오히려 비극을 몰고 오기도 한다. 이미 잃어버렸음을 알았을 때 비로소 찾기 시작하고, 원하는 것을 손에 넣자마자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다는 모순. 아름다움은 무상하게 사라지고 역사는 무정하게 흘러간다. 그런 비겁함과 덧없음과 아름다움이 한데 뒤엉겨 있는 형식이 소설이자 인생일 것이다.

인아영 문학평론가
#불가능#안도감#상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