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야크와 함께하는 내 마음의 그곳]나경원 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회장의 ‘서울 남산’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나징가제트도 지칠땐 찾아가죠, 엄마같은 저 산으로

칼바람이 부는 한강 잠수교 남단 부근에서 남산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나경원 회장. 그는 거의 평생을 남산 자락에서 살았으며 지금도 그의 집 거실 창문 너머로 남산이 보인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칼바람이 부는 한강 잠수교 남단 부근에서 남산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나경원 회장. 그는 거의 평생을 남산 자락에서 살았으며 지금도 그의 집 거실 창문 너머로 남산이 보인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서울사람들은 대부분 남산(265m)에 대해 무심하다. 으레 시골사람들이나 가는 곳인 줄 안다. 당연히 남산타워(현 N서울타워·236.7m)는 연인들 데이트 코스쯤으로 여긴다. 그곳 눈높이(약 480m)에서 바라보는 서울 야경이 얼마나 황홀한지 꿈에도 모른다.

나경원(51) 역시 남산에 대해선 관심이 없었다. 남산타워도 단 한번도 오른 적이 없다. 그런데도 그는 거의 평생을 남산자락에서 살았다. 중구 신당동이나 용산 동부이촌동 등 집은 몇 번 옮겨 다녔지만 ‘뛰어봤자 늘 남산 발밑’이었다. 의식적으로 그렇게 하지 않았는데도, 결국은 남산 주위를 뱅뱅 돌며 사는 자신을 발견하곤 했다. 지금도 그의 집 거실 창문 너머로 남산이 빤히 보인다.

“2008년 국회의원 공천을 참 어렵게 받았다. 서울 중구에 낙점됐는데, 난 꿈에도 생각한 적이 없었다. 여고를 나온 마포나 당시 살고 있었던 용산, 그것도 아니면 그때까지 단 한번도 한나라당에서 당선자를 내지 못했던 송파 병(19대 김을동 의원 첫 새누리당 당선)을 원했다. 공천을 받자마자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이 ‘도대체 중구와 내가 무슨 인연이 있지?’라는 거였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인연도 보통 깊은 인연이 아니었다. 남산자락의 명동성당에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다녔고, 중학교도 남산 북사면에 있는 숭의여중을 나왔다. 나는 의식을 하지 못했지만, 난 남산손바닥 안에서 뛰어논 거다. 그때부터 수시로 남산을 찾았다. 편안하고 아늑하고 따뜻했다. 걷다보면 스르르 온갖 스트레스가 사라졌다.”

나경원은 네 딸 중 맏이다. 공군조종사 출신 아버지(충북 영동·1937∼)는 그를 ‘장남 같은 딸(현모양처)’로 끔찍하게 여겼지만, 한편으로는 군인 출신답게 엄격하고 씩씩하게 키웠다. 수영, 테니스, 스케이트로 몸을 단련하게 하고, 다양한 특별활동으로 경험을 쌓게 했다. 초등학교 내내 반장을 했지만, 6학년 전교 회장선거에선 차점자가 돼 부회장에 머물렀다(중학교에선 회장 당선). 그때 처음 선거라는 걸 직접 겪었다. 포스터도 그리고 구호도 써넣고, 정견발표도 하며 분위기를 익혔다. 당시 무명연극배우였던 서인석 씨(1949∼)의 지도를 받아 전국아동우수연기상을 받기도 하고, 웅변대회에 나가거나 치열한(?) 경쟁을 뚫고 방송반에 들어가 교내아나운서 활동을 하기도 했다. 훗날 대변인을 할 때 ‘또랑또랑하고 정확한 발음’은 어릴 적 그 경험이 적잖은 도움이 됐다.

“우리 네 딸은 한방에서 부대끼며 자랐다. 바로 아래동생이 두 살 터울, 셋째와 막내가 각각 다섯 살, 여섯 살 차이다. 내가 대학생일 때 막내가 초등학생이었는데 지금은 정다운 친구처럼 지낸다. 둘째는 사귀던 남자친구가 있었는데, 나 때문에 결혼을 못하고 있었다. 당시 난 사법시험 공부 하느라 엄두를 낼 수 없었다. 아버지는 ‘첫째 다음에 둘째가 가라’며 꿈쩍도 안하셨다. 혹시나 사람들이 ‘동생이 먼저 가면 언니한테 무슨 결함이 있는 거 아니냐’고 여길까 걱정하신 거였다. 동생은 시도 때도 없이 나한테 ‘도대체 언제 시집가느냐? 언니 시험 합격할 때까지 어떻게 기다리느냐?’며 투정을 부렸다. 셋째와 막내는 ‘언니들 또 싸운다’고 짜증을 내며 방을 뛰쳐나가곤 했다. 결국 1988년 11월 나란히 사법시험준비생이었던 우리 커플은 등 떠밀리다시피 백수부부가 됐다. 그해 우리부부는 둘 다 사법시험에서 미역국을 먹었다. 물론 두 사람 모두 그때까지 무수히(?) 떨어졌지만, 이젠 가정을 꾸려나가야 했다. 그래도 ‘어떻게 되겠지’하며 버티는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그 다음해 남편(김재호 부장판사)이 합격했고, 난 그 후 3년이 지난 1992년, 대학졸업 6년 만에 긴 여정을 마칠 수 있었다. 거기엔 ‘나징가제트’로 불렸을 정도의 무쇠체력이 한몫했다고 볼 수 있다.”

‘꼬마 숙녀’ 시절 나경원 회장(왼쪽)과 두 살 아래 동생.
나경원 회장 제공
‘꼬마 숙녀’ 시절 나경원 회장(왼쪽)과 두 살 아래 동생. 나경원 회장 제공
나경원은 17, 18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낙선했다. 그 뒤 19대 국회의원선거 불출마를 선언했고, 그 이후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조직위원장으로 살았다(최근 스페셜올림픽에 관한 책 ‘무릎을 굽히면 사랑이 보인다’ 출간). 서울시장 선거 땐 ‘연회비 1억 원 피부클리닉 출입 논란’과 ‘기소청탁사건’ 등에 시달렸다. 그 후유증으로 6개월 전까지 멀쩡했던 친정엄마는 선거 한 달 후 난소암 판정까지 받았다.

“서울시장 선거가 끝난 후 아들에게 된장찌개를 끓여주자니 가슴이 울컥했다. 정치입문이후 10년 만에 직접 해주는 음식이었다. 나도 한때 요리학원도 다니고, 꽃도 가꾸고, 집안도 단장하고 그랬는데…. 도대체 ‘1억 원 피부클리닉’이라니 황당했다. 아는 사람이 1년에 500만 원쯤 된다고 해서 따라간 게 잘못이라면 잘못이었다. 기소청탁사건(무혐의처분)은 더 억울했다. 남편은 정치와는 담을 쌓고 사는 사람이다. 단 한번도 내 선거운동을 도와준 적이 없다. 나도 원하지 않았다. 법관은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새벽까지 기자들 전화가 빗발쳤고, 아이들은 불안에 떨었다. 나도 카메라세례를 받으며 경찰에 출두해야 했다. 어쨌든 이런 것들은 자기반성으로 결론 내리지 않으면 극복이 안 된다. 내가 세심하지 못했던 부분도 있다. 내 뜻과 상관없이 정치적으로 너무 빨리 컸던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좋은 약이 됐다. 붓글씨 공부한 지 한 1년 됐는데 마음이 차분해져서 좋다.”

그렇다고 나경원이 정치입문을 후회하는 것은 아니다. 스페셜올림픽도 그의 정치적 자산이 큰 힘이 됐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가 정치를 안했으면 어떻게 그런 큰일을 치러낼 수 있었을까. ‘판사 나경원’이 나섰으면 누가 도와줬을까. 판사는 ‘개인의 삶’을 바꿀 수 있지만, 정치인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나경원은 스스로 강단이 있다고 말한다. 손해 보더라도 아닌 건 아니라는 것이다. 직선적이고 돌직구 기질이 다분하다. 음식도 뭐든 잘 먹는다. 개고기도 어쩔 수 없을 땐 피하지 않는다. 서울대 법대 1학년(82년) MT 갔을 때 “왜 자유로운 토론이 보장되지 않느냐”고 당차게 항의하며 선배들과 다퉜던 것도 바로 그였다. ‘법대여학생(360명 중 11명)들은 치마 입으면 안 된다’는 권위적인 시대, 그것은 하나의 사건이었다. 조국, 김난도 교수, 조해진 의원, 원희룡 전 의원 등이 그의 동기생들이다.

“가족들과 함께 가끔 남산을 산책한다. 안경에 모자 쓰고, 화장 안하고 가면 사람들이 긴가민가 잘 알아보지 못한다. 알아보더라도 가족과 함께 걸으면 덜 알은체해 주신다. 그 따뜻한 배려가 정말 고맙다. 만약 내가 무슨 직위에 있으면서 직원들과 함께 갔다면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나 범생이 맞다. 부정하지 않는다. 유복한 집안에서 자랐고, 밥을 굶었던 적도 없다. ‘엄친딸’ 이미지도 내가 아니라고 한다고 바꿀 수 있을까. 하지만 난 진정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옳다고 생각하면 끝까지 간다. 불리하다고 바꾸지 않는다. 어찌 보면 어리바리하고 어수룩하다.”  

▼ “엄마보다 속 깊은 딸… 너는 내 삶의 비타민이야” ▼
세상에서 가장 예쁜 ‘다운증후군 딸’


수영장에서 딸 유나와 함께 즐거운 한때. 나경원 회장 제공
수영장에서 딸 유나와 함께 즐거운 한때. 나경원 회장 제공
나경원의 첫째아이 유나는 다운증후군이다. 올해 스물하나. 일반 중고등학교의 특수학급에서 공부한 뒤, 성신여대에 장애인특례입학으로 들어가 실용음악(드럼)을 전공하고 있다. 키가 엄마보다 10cm쯤 작지만, 기억력 하나는 끝내준다. 전화번호 같은 숫자를 기가 막히게 잘 외우는데, 왜 덧셈 뺄셈 등 계산이 잘 안되는지 그게 좀 아쉽다.

요즘 나경원에게 딸 유나는 삶의 비타민이다. 모든 게 다 예쁘다. 전화목소리만 들어도 유나가 지금 어떤 상태인지 금방 안다. 유나가 어릴 땐 ‘딸과 놀아주기’가 취미였을 정도로 온 힘을 쏟았다. 뭐든 배우는 게 느려서 하나하나 차근차근 반복해서 가르치고 또 가르쳤다. 학교에 가면 선생님들에게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죄송합니다”를 입에 달고 살았다. 장애아 엄마는 그저 ‘죄인’이었던 것이다.

“1993년 애를 낳자마자 하늘이 캄캄했다. 신을 원망하기도 하고 울기도 많이 울었다. 도저히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과연 내가 키울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하루에도 수백, 수천 번씩 들었다. 출산 후 20여 일 후부터 석 달 동안 사법연수원시험을 보러 반포대교를 오가는 데 눈물바람으로 그 다리를 건너곤 했다(시험 동안 시어머님이 봐 주심). 무엇보다도 고마운 건 남편이었다. 남편은 곧 현실을 받아들이고 나를 다독였다. 그게 큰 힘이 됐다. 내가 이런 인터뷰를 하면 ‘장애인 딸 팔아 정치복귀’하려 한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 도대체 사람이 어떻게 그런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이 세상 어느 장애인 엄마가 그럴 수 있을까. 난 칭찬받고 싶지 않다. 당당한 장애인 엄마가 되고 싶을 뿐이다.”

유나는 버스나 지하철을 혼자서도 척척 잘 타고 다닌다. 스마트폰으로 검색해 엄마보다 더 환하게 꿰뚫고 있다. 엄마보다 속이 더 깊고, 따뜻한 마음으로 남을 먼저 배려한다. 이젠 엄마가 딸에게 너무 많이 배운다. 문제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얼마 전에도 처음 가는 장소에서 친구와 만나기로 해놓고 한 시간이나 연락이 끊겨 거의 멘붕 상태에 빠진 적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음악이나 화성법 등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은 데, 그게 맘대로 잘 안되니까 스트레스를 적잖이 받는 눈치다. 다행히 요즘 조금씩 친구들과 커피도 마시고 어울리는 것 같아 마음이 좀 놓인다. 사실 마음속에 늘 미안한 것은 아들이다. 첫째가 장애아일 때, 둘째는 아무래도 관심을 덜 받는다. 그 반대일 경우가 훨씬 낫다는 게 의료계 정설이다. 언젠가 어느 나이든 소아과의사 선생님이 ‘아들은 따로 키우는 게 좋다’고 가만히 충고했을 때 펄쩍 뛰었는데, 이제야 그 깊은 뜻을 알 것 같다.

“유나를 어느 사립초등학교에 입학시키려고, 교장선생님을 찾아갔는데, 그 교장은 의자에 앉아 일어서지도 않은 채 호통부터 쳤다. ‘엄마, 꿈 깨! 장애아 교육시킨다고 정상아 되는 줄 알아!’ 난 유나 손을 잡고 울면서 그 학교 운동장을 걸어 나왔다. 세상에 대한민국 오피니언 리더가 저럴 수가 있는가. 교육청에 징계요청을 했더니, ‘구두경고’했다며 꿈쩍도 하지 않았다. 남편한테 그 이야기를 했더니 2차 경험자라 그런지 나만큼 화를 내지 않았다. 여기에 더 속상했다. 그래서 교육청에 ‘어느 지방법원 판사’라고 했더니 그때서야 움직였다. 그때 정말 뼈저리게 느꼈다. 법과 제도를 바꿔 세상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그러려면 정치를 해야겠다고. 물론 꼭 정치를 해야만 이 사회에 선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그건 지금도 고민 중이다.”

김화성 기자 mars@donga.com  

나경원 약력

▽1963년 서울 출생 ▽계성초∼숭의여중∼서울여고(옛 마포여고)∼서울대 법대∼서울대대학원 법학석사∼서울대대학원 박사과정(국제법 전공) 수료 ▽부산지방법원, 인천지방법원,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17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대변인 ▽이명박대통령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제18대 국회의원(서울 중구) ▽한나라당 최고위원, 한나라당 공천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2013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조직위원장

▲현직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 집행위원 ▽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회장 ▽한국장애인부모회후원회 공동대표 ▽손기정기념재단 공동이사장 ▽서울대행정대학원 초빙교수

▲저서 ▽세심(2010) ▽무릎을 굽히면 사랑이 보인다(2013)
#나경원#남산#한국스페셜올림픽#나징가제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